logo

한국어

지식나눔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72
  • 2512571
조회 수 29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M7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유서 깊은밝은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모습은 항상 아쉬움만 자아낼 뿐..

 

원래 어떻게까지 보여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아는게 병일까..

 

7번은 적위 -34.5도로 메시에 110개 대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상이다.

 

그래서광해에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다.

 

육안으로 구상성단처럼 보이는 무시무시한 모습을 우리나라에서 이제 더 이상은 볼 수가 없다

 

그렇다고 망원경으로도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다

 

[ M7, 검은 종이에 젤리펜 조강욱 (2016) ]

M7.JPG

 


친근한 K자 모양도 같이 (왼쪽은 7번, 오른쪽은 친구인 6번의 스타체인이다)

7 스타체인.JPG


  

또한 그저 평온한 크고 성긴 산개성단인줄 알았던 7번에서도 구상성단과 암흑성운산개성단을 같이 볼 수 있다.


스카이 사파리를 돌려봐도 다양한 종류의 대상들이 겹쳐 보인다


폰화면.png  



은하수 중심 방향이라 요란한 별들의 향연을 피해 갈 순 없는 것이다


아래 사진에선 구상성단 6453, 산개성단 6444를 7번의 지근거리에서 찾을 수 있고, 


7번 아래쪽에는 K자 스타체인의 데자뷰인 듯한 K자 암흑성운이 자리해 있다

 

M7근처.jpg 

(출처 : http://asbalcony.cocolog-nifty.com/photos/uncategorized/2013/06/02/20130504_m764446453.jpg) 

 


그리고 여기엔 무시무시한 도전 대상이 숨어 있다.

 

별상 이상으로는 분해되지 않는 행성상성운 3개인데..

 

국내에는 야간비행 이한솔님이 2013년에 18인치로 벗고개에서 관측한 최초이자 유일한 기록이 있다.

 

(아래 === 안의 글은 이한솔님의 관측기록이다. 자료사진은 윤정한님 블로그에서 발췌)


=========================================================================================


자세히 뜯어보면 M7도 M24 못지않게 복잡하고 관측 포인트가 많은 대상인 것 같습니다. 다만 고도가 더 낮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자세히 관측하기가 힘든 것 같습니다.

 

그동안 M7 내부에서 산개성단, 암흑성운, 구상성단등은 관측한 적이 있었지만 행성상 성운은 관측하기 힘들었는데 이날은 남쪽하늘이 좋아서 준비해간 자료로 도전해 봅니다.

먼저 Cannon 2-1(PN G356.2-04.4), 12등급 2초각으로 찾기에는 가장 쉬웠습니다. 다만 완벽한 별상이라는 것!! 검출을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어야하고

 

필터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필터가 없을 때는 별과 구분 할 수 없었으나 uhc를 끼우면 반짝임을 잃고 뭔가 별과는 달라 보입니다.

 

PK356-04_1-adhara.jpg  

 

 

 

다음은 Hoffleit 2-1(PN G355.4-04.0), 유일하게 행성상 성운처럼 보입니다, 10초각의 원반형이고 uhc 필터를 끼우면 매우 흐리게 보입니다.

 

PK355-04_1-adhara.jpg

 

 

 

마지막 Minkowski 1-30(PN G355.9-04.2) 15등급 5초각이어서 검출이 매우 힘듭니다..

 

사진을 참고해서 찾다보면 광채를 잃은 매우 흐린별..

 

PK355-04_2-adhara.jpg

 

이번 경험으로 보아서는 관측지, 하늘상태, 구경 모든 게 받쳐줘야 할 것 같습니다. 필터는 uhc가 유리한 것 같구요,...



=========================================================================================


 

 

하늘을 보는 즐거움 중에 하나는,

 

남이 많이 보지 않은 대상에 도전하는 호기심과 성취감이다.

 

마치 눈 덮인 벌판에 가장 먼저 발자국을 내는 것 같은 기분 말이다





                                                      Nightwid 無雲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4. 2일차(키루나) : 오로라와의 조우 8 조강욱 관측부장 2015.04.28 5121
124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5. 3~4일차(키루나-아비스코) : 태... 4 조강욱 관측부장 2015.05.06 5444
123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6. 5일차(나르빅-키루나) : 폭풍의... 4 조강욱 관측부장 2015.05.13 6259
122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7. 6일차(오슬로-스발바르) : 뭉크... 조강욱 관측부장 2015.06.08 4859
121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8. 7일차(스발바르) : 길이 없으면... 3 조강욱 관측부장 2015.06.16 5276
120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9. 8일차(스발바르-오슬로) : 너무... 8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5.06.24 5414
119 [관측기] 2015 북극권 원정 - #10. 9~10일차(프랑크푸르트~한국) ... 4 조강욱 관측부장 2015.07.17 6376
118 관심법(觀深法) - #7. 구상성단 : 유형별 추천대상 1부 2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5.09.16 5318
117 [관측기] 태양아 놀자 (태양 관측의 매력은?) 2 조강욱 관측부장 2015.11.20 5067
116 [관측기] 바보처럼 별을 보는 방법 (마지막 메시에 스케치 관측기록) 4 file 조강욱 관측부장 2016.07.12 3745
115 [M1] 천년의 빛 4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16 3578
114 [M2] 꽃게탕 드시고 가실께요!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17 3229
113 [M3] 3번 고속도로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18 3095
112 [M4] 온몸으로 널 사랑해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19 3067
111 [M5] 브란덴부크르 협주곡 5번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22 3279
110 [M6] 구상형 산개성단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23 3288
» [M7] 의도치 않은 요란한 축제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24 2942
108 [M8] 근데 석호성운은 왜 석호일까? 4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27 4133
107 [M9] 낯선 천장 아래서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29 3233
106 [M10] 뱀주인 노잼 5형제의 맏형 조강욱 관측부장 2016.08.30 318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