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고배율 달 관측에 푹 빠져 지내고 있습니다.
뭐.. 스마트폰 어퍼컬도 계속 하고 있지요..
보정은 할 줄 모르고 배워 볼까 생각만 하다가 천벌이 두려워 거기까진 접근을 안하고 있습니다.^^
17.5" 돕에 팬옵틱 22 끼워서 찍어 본 달입니다. 월령 20.5일입니다.
아펜니노산맥 중간에 rima hadley 라는 아주 작은 지형이 있습니다.
사진출처 / http://www.damianpeach.com/lunar.htm
확대해 보면 요렇게 실개천처럼 생겼습니다.
사진출처 / http://www.lpod.org/?m=20061224
구글이미지에서 보니 친절하게도 이런 사진이 있네요.. ^^
사진출처 / http://www.sydneyobservatory.com.au/2007/a-meandering-channel-on-the-moon-lets-visit-rima-hadley/
또 재미있는것이 rima hadley 를 검색하면 따라오는것이 apollo 15 입니다.
apollo 15 가 1971년 7월30일에 바로 rima hadley 에 착륙했었습니다.
rima hadley 관측 성공을 위해서는 몇가지 준비해야 할것들이 있습니다.
1.좋은 하늘을 만나야 합니다.
2. rima hadley 근처로 그림자 경계가 있는 월령 6일이나 월령20일을 기다려야 합니다.
3.가능하면 달이 천정근처에 와 있는 시각을 노려야 합니다.
4.고배율이 가능한 대구경이 있어야 합니다.
5.고배율을 위한 최상의 냉각 조건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난23일 월령18.5일때 625배로 rima hadley 를 관측했지만 마지막 사진의 hadley C 와 Bela 밖에 확인이 되지 않았습니다.
24일 월령 19.5일은 구름이 가득하여 관측을 실패했고 월령 20.5일에 400배 관측으로 rima hadley 전체의 모습을 비로서 다 확인 할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밝은 달안의 rima hadley 도 한참이나 쬐려 봐야 보이더군요..
월령 6일 즈음에 관측했더라면 초저녁에 관측성공할수도 있었겠지만 저는 월령 20.5일 새벽 5시를 야간비행 출격 타임으로 정하고 네시간만 자고 일어나는 고충^^을 겪으며 관측의 시린맛을 느꼈습니다..
박명과 함께 장비를 접으며 차안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앞 유리창이 뿌였게 보여 와이퍼를 움직이니 서리가 내려있더군요.
이제 드디어 방한복에 신경 써야 될때가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