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 News Serial No 17. Vol No II
May 2013
<목 차>
I. Life with Kaas
Gegenschein – 게겐샤인
(1) Gegenschein 단어의 뜻
(2) 촬영의 노하우
(3) 황도광과 다른 점
II. Not Essential But Beneficial
잃어버린 별자리를 찾아서 (5 회)
(1) Cerberus – 세베루스 자리
1. Hercules 의 12번째 과제
2. Hercules 의 11번째 과제
3. 토끼는 한 마리만 쫒아야 할 듯
(2) Psalterium Georgianum 또는
Harpa Georgii 또는
Psalterium Georgii – 조지왕의 하프 자리
1. Lyra (거문고) 말고 Psalterium (하프) 도 있었다
2. George 왕은 뭐하던 사람이지 ?
3. Psalterium Georgianum 에서 보이는 민족주의 경향
4. 인생지사 새옹지마 (人生之事 塞翁之馬)
III. Surprise & Mystery
Eta Carinae – 진짜 폭발 보여줄 날을 기대하시라
(1) 내 주소는 남천시 휘황구 찬란길 에타번지
(2) – 0.8 ~ 8 등급으로 널뛰기하는 광도
(3) Supernova Impostor (유사 초신성) 의 뜻
IV. Journey to Deep Sky
별 이름 사전 (3 회)
(1) 이 칼럼에서 <별> 의 의미
(2) 마음으로 보는 별
(3) AL 로 시작하는 아랍어 어원 별 5 개 추가
(4) AL 이 없으면서 어원이 아랍어인 별 49 개
(5) 페르시아어가 어원인 별 3 개
V. Coffee Break
Eridanus 강은 지금 어디 있는 강일까 ?
(1) Acamar, Achernar 뜻이 모두 “강의 끝” 인 사연
(2) Eridanus 강 위치 탐사
1. Babylonia 기원설
2. 그리이스 신화 기원설
3. 고대 Athens 기원설
4. Italy 의 Po 강 기원설
(3) 사견 (私見)
VI. Moon River Wider Than a Mile
달 전체에서 제일 큰 지형 South Pole-Aitken
(1) 미지의 영토, 달의 뒷면
(2) Mare, Basin, Crater 의 차이점
(3) 大大益善 (대대익선) ? 크다고 다 좋을까 ?
<본 문>
I. Life with Kaas
Gegenschein – 게겐샤인
(1) Gegenschein 단어의 뜻
이번 칼럼에선 소제목들 순서를 조금 바꾸어 보았습니다. 칼럼 시작부터 별이름 사전 같은 지루한 말씀보다는 좀 더 가벼운 소재로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Gegenschein> 이란 소재는 우리지부 조강욱 관측부장께서 2012년 2월에 댓글로 제안하신 두가지 소재중의 하나이다. 또 다른 소재인 Venus Belt 는 2012년 5월 Serial No 7 의 “Life with Kaas” 칼럼에서 “비너스 벨트와 분홍 립스틱” 이란 소제목으로 다룬 바 있다. 그러나 Gegenschein 은 2013년 5월인 지금에야 쓰고 있으니 두가지 숙제를 모두 끝내는데 무려 1년 3개월이나 걸린 셈이다. 숙제가 늦었으나 별 보는 일이야 어차피 평생해야 할 일으므로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
Gegenschein 이란 말은 독일어이며 영어로 번역하면 Counterglow 가 된다. Gegenschein 및 Gounterglow 의 우리말 번역어를 인터넷 사전에서 찾아 보았더니 <대일조> 라는데, 한자어는 병기되어 있지 않았다. 몇번 지적드린 사항이지만 이런 우리말 번역어의 문제는 한자 뜻을 모르면 내용을 짐작조차 할 수 없다는 데 있다. “대일조” 를 제가 임의로 몇가지 한자어로 써 보겠다. 어느 것이 맞는지 골라 보시지요.
(1) 大日朝 / (2) 對日助 / (3) 待日組 / (4) 對日照
아시다시피 정답은 (4) 번이며 각 단어 의미는 아래와 같다.
(1) 大日朝 : 위대한 일본의 아침
(2) 對日助 : 일본에 대한 원조, 도움
(3) 待日組 : 일본을 접대하는 팀
(4) 對日照 : 태양 반대편에서 빛나는 빛
“대일조” 라는 우리말 번역어가 마음에 들지 않아 여기선 아마추어 천문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Gegenschein (게겐샤인) 이란 독일어를 그대로 사용하겠다. “태양 반대편에서 빛나는 빛”이란 의미를 알았으니 구체적으로 어떤 빛인지 우선 사진부터 보여 드린다.
(2) 촬영의 노하우
<Gegenschein. 사진 Jerry Lodriguss/Astronomy.com>
위 사진 가운데 희뿌옇게 보이는 원형 부분이 Gegenschein 이다. 이렇게 희미한 사진을 자랑스럽게 발표할 정도이므로 Gegenschein 이 얼마나 보기 어려운지 상상이 되실 것이다. Gegenschein 이란 “태양계 행성들의 태양 공전궤도 원반에 떠도는 작은 먼지 입자들이 태양의 180 ° 반대편에서 태양 빛에 의해 산란되어 빛나는 것” 이다. 이런 먼지 입자들을 영어로 Interplanetary Dust Particles 라고 부르며 화성과 목성 사이의 Asteroid Belt 사이에 주로 분포한다.
Gegenschein 은 극히 미역한 빛이므로 지상에서 보려면 극도로 어두운 밤하늘이 필요하다. 당연히 달빛이 없는 합삭일이어야 하고, 은하수 빛 조차 있으면 안된다. 북반구에서 은하수는 여름과 겨울에 태양 반대편에 위치한다. 이 시기에는 Gegenschein 이 은하수가 있는 곳에 있으므로 밝은 은하수 빛에 묻혀버려 보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북반구에서 보려면 봄이나 가을에 찾아 보아야한다. 또한 지평선 아래로 숨어 들어간 태양이 밤하늘 천정 부근과 180 ° 각도를 이루며 먼지들이 태양 빛으로 산란되는 위치이어야 하므로, 밤 1시부터 새벽 1시경에 약 1시간 동안만 볼 수 있고, 태양이 천정 부근과 180 ° 각도를 벗어나면 사라지게 된다.
이런 까다로는 조건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북반구에선 봄과 가을
2. 합삭일
3. 광해가 전혀 없는 곳
4. 밤하늘 천정 부근. 태양이 있는 위치 180 ° 반대편
5. 밤 12시~1기경의 약 1시간 동안
(3) 황도광과 다른 점
그러면 Gegenschein 이 황도광 (Zodiacal Light, Zodiac Light) 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
둘 다 태양계 형성 당시 잔해나 먼지들이 태양 빛에 산란되어 빛나는 현상이지만, Gegenschein 은 태양이 있는 위치 180 ° 반대편에서 빛나지만 황도광은 일몰 직후, 또는 일출 직전에 태양이 머무는 방향에서 빛난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황도광도 Gegenschein 과 마찬가지로 북반구에서는 봄과 가을이 그나마 은하수 광해가 덜하기 때문에 여름 및 겨울보다 관측에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Gegenschein 황도광
--------------------------------------------------------------------------------------------
1. 태양과 180 ° 반대편 태양이 있는 방향
2. 한밤중 (밤 12시~1시) 일몰 직후, 일출 직전 (저녁 7~8시, 아침 5~6시)
3. 천정부근 지평선부터 천정부근까지 옥수수 모양
4. 봄, 가을 봄, 가을
--------------------------------------------------------------------------------------------
황도광에 대한 기타사항은 Serial No 1 을 보시면 됩니다. 그곳에 게재했던 사진을 다시한번
올려 드린다.
<일몰 직후의 황도광. 안시로 보면 이렇게 밝지는 않다. 사진은 노출을 충분히 준 것이다>
이해하기 쉬우시도록 태양 및 지구 위치와 관련해서 Gegenschein 과 황도광이 나타나는 원리를 그림으로 그려 보았다. 산만해 보이지만 제가 직접 그린 것이므로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 아래 그림에서 푸른색 지구는 왼쪽 (서쪽) 에서 오른쪽 (동쪽) 으로 자전한다. 5 am 의 새벽 일출전에는 태양이 있는 방향으로 지구 지평선 아래에 있는 태양이 Interplanetary Dust Particles 를 비추어 황도광이 보인다. Interplanetary Dust Particles 는 주로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에 있으므로 지구 공전 궤도 바깥에 분포한다. 지구가 오른쪽으로 돌아 7 pm 이 되어 일몰 직후가 되면 지평선 아래로 진 태양 빛이 마찬가지 황도광을 만든다. 한밤중 12 pm 이 되면 태양 반대편에 있는 Interplanetary Dust Particles 가 태양 빛을 받아 태양과 180 ° 를 이루는 방향에서 Gegenschein 을 볼 수 있다. 황도광은 황도대에 보인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길쭉한 옥수수 모양으로 그려보았다.
<Gegenschein 과 황도광이 나타나는 원리>
Chile 에 있는 ESO (European Sourthern Observatory) 의 VLT 밤하늘에 나타난 Gegenschein 사진 한 장 더 올려 드린다. 인터넷 검색하시면 많이 나오는 사진이다. 사실 Gegenschein 은 VLT 가 있는 청정 밤하늘 정도라야 볼 수 있는 현상인데, 혹시 우리나라는 밤하늘에서 사진 찍으신 분 계시는지는 알 지 못한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 어디서건 “이 현상” 을 직접 촬영하신 사진 보내주시는 분께 좋은 선물 드린다는 “현상” 을 겁니다.
<VLT 를 배경을 한 Gegenschein. 사진 Yuri Beletsky. 2008. astro.ru>
II. Not Essential But Beneficial
잃어버린 별자리를 찾아서 (5 회)
(1) Cerberus – 세베루스 자리
1. Hercules 의 12번째 과제
영화 해리포터 첫번째 시리즈인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Harry Potter and the Philosopher’s Stone. 2001)>에서 비밀의 방을 지키던 머리 셋 달린 개가 생각나시는지요 ? 영화에선 그 개 이름이 Fluffy (플러피) 이고 Hagrid (해그리드) 의 애완동물이라는 설정이지만 사실은 그리이스 신화에 나오는 <Cerberus> 라는 동물을 조금 변형한 모습이다. Cerberus 는 그리이스어의 영어표기인 Kerberos 를 영어식으로 쓴 것이다. 우리말 표기는 세베루스, 케르베로스 등으로 쓰며 Cerberus 의 북미영어 발음은 “서-버러스” 정도 될 것이다. 이 영화의 한 장면인 아래 그림 보시면 생각나실 것이다.
<영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에 나오는 Fluffy (플러피).
그림 puppatoons.wordpress.com>
Cerberus 는 그리이스 신화에서 Eurysthes (에우리스테우스) 왕이 Hercules 에게 준 12가지 과제 (12 Labours of Hercules) 중 마지막 12번째 과제에 나오는 동물이다. Hades 가 통치하는 저승 입구인 Styx 강을 지키는 개이며 머리는 세 개이고 몸에는 뱀 머리들이 꿈틀거리는 모습이다. 고대 로마 도자기에 묘사된 Cerberus 모습을 한 번 보시지요.
<고대 로마 도자기. BC 525년경. Hercules 가 Cerberus 를 잡아가고 있다>
그러면 괴물 같은 이 개가 어떻게 별자리에까지 오르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아래 성도는
이 칼럼에서 자주 인용하는 Alexander Jamieson (영국, 1822년) 의 성도이다. 성도 가운데 Hercules 가 왼쪽 손에 들고 있는 나뭇가지 위쪽에 뱀 머리 세개가 보인다. 그 아래 쪽에 작은 글씨로 <Cerberus et Ramus Pommier> 라고 씌여 있다. 이 말은 프랑스어이며 우리말로는
<세베루스와 사과나무 가지>로 번역된다. 그런데 Cerberus 가 “개 머리” 세 개가 아니고 “뱀 머리” 세 개로 바뀌었는지, 또한 뜬금없이 “사과나무” 는 왜 등장하는지 나름대로 사연이 있을 것이다.
<1822년 Alexander Jamieson 의 성도>
위에 표시된 <Cerberus et Ramus Pommier> 위치를 현대 성도에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Cerberus et Ramus Pommier 또는 Ceberus 위치. 붉은색 원
성도 Sky and Telescope>
2. Hercules 의 11번째 과제
인류 최초로 북반구와 남반구의 전 하늘의 별들을 담은 성도이며, 새로운 방법의 구리 동판을 사용하는 등 성도 제작의 새로운 지평을 연 Johannes Bayer 의 Uranometria (1603) 를 보면, Hercules 가 손에 나뭇가지만 쥐고 있고 다른 것은 보이지 않는다. 이 나뭇가지는 그리이스 신화의 Hercules 12 과제중 11번째인 Apples of Hesperides 에 나오는 <Golden Apples (황금 사과나무)> 를 표현한 것이다.
<1603 년 Johannes Bayer 의 Uranometria.
Hercules 가 11번째 과제인 Golden Apples (황금 사과나무) 만 쥐고 있다>
그런데 Uranometria 이후 87년이 지난 1690년 Johannes Hevelius 가 발행한 Uranographia 에는 Golden Apples (황금 사과나무) 는 사라지고 Hercules 가 뱀 머리 세 개를 쥐고 흔드는 그림으로 묘사되어 있다. Hevelius 가 Golden Apples 를 뱀 머리로 바꾸고 Cerberus 라고 적어 놓은 것이다. 사실 그리이스 신화에선 개 머리가 세 개이고 뱀 머리는 개 몸에 달려있는 것 들인데 어찌된 일인지 뱀 머리 세 개로 바꾸어 버린 것이다. 하여간 역사상 성도에서 Cerberus 라는 단어는 1690년 Johannes Hevelius 의 Uranographia 에서 처음 등장하므로 이 별자리는 Hevelius 가 만들었다고 보아야 한다. 아래 성도 보시지요.
<1690년 Johannes Hevelius 의 Uranographia.
1603 년 Johannes Bayer 의 Uranometria 와는 다르게 뱀 머리 세 개만 그려져 있다.
그림 Tartu Observatory Virtual Museum>
3. 토끼는 한 마리만 쫒아야 할 듯
한편 1721년에 John Senex 라는 동판화가는 역사상 처음으로 Johannes Bayer 의 Uranometria (1603) 에 있던 사과나무와 Johannes Hevelius 의 Uranographia (1690) 에 있던 뱀 머리를 “혼합” 해서 두 개 모두 성도에 그려 넣었고, 1801년 Johann Bode 가 Uranographia 를 발행할 때 이를 따라 하면서 별자리 이름을 Cerberus et Ramus 로 표기해 놓았다. 이로써 Hercules 의 11번째 과제와 12번째 과제가 성도에 같이 올라가게 되었다. 아래 그림은 Bode 의 Uranographia 이다.
<1801년 Johann Bode 의 Uranographia. 별자리 이름이 Cerberus et Ramus 로 표기되어 있다.
그림 digitalgallery.nypl.org>
<위 그림 부분 확대. 1801년 Johann Bode 의 Uranographia.
그림 ianridpath.com>
하여간 1690년 Hevelius 이후로 모든 성도는 개가 아닌 뱀으로 그려 놓았고, 1721년 Senex 및 그를 따라한 1801년 Bode 의 Uranographia 이후에는 뱀과 사과나무가 같이 묘사되어 Cerberus et Ramus 또는 Cerberus et Ramus Pommier 라는 별자리로 그려지게 된다. 맨 처음 보신 1822년 Alexander Jamieson 의 성도가 예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별자리는 밤하늘에서 차지하는 지역이 너무 적고 Hercules의 11번째 과제와 12번째 과제가 뒤섞여 있는 등, 탄생과정도 산만해서인지 결국 퇴출되었다. 두 마리 토끼 잡으려다 결국 모두 놓친 형국인듯하다.
(2) Psalterium Georgianum 또는
Harpa Georgii 또는
Psalterium Georgii – 조지왕의 하프 자리
1. Lyra (거문고) 말고 Psalterium (하프) 도 있었다
위에서 말씀드린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에 나오는 Cerberus 를 잠재울 수 있는 것은 자동연주 악기인 Harp (하프) 였다. 그러면 Harp 도 별자리에 있었을까 ? 물론 이 글의 제목에서 보시듯이 예전엔 Harp 라는 별자리도 있었다. 그러나 일반 Harp는 아니고 특정인이 소유했던 악기였고, 그 특정인이란 영국 왕 George 3세라는 인물이다. 우선 예전 성도에 나타난 Harp 그림부터 보시고 시작한다.
<1822년 Alexander Jamieson 의 성도. 중간부분에 Harp 그림이 보인다. 그림 etsy.com>
<위의 그림 부분 확대>
부분 확대된 그림을 보시면 Psalterium Georgii 이라고 되어있으나, 역사상 최초로 붙은 이름은 Psalterium Georgianum 이었다. Psalterium 은 그리이스 시대 악기 이름인데 요즘의 Harp (하프)의 조상이다. Psalterion 또는 Psaltery 로도 쓴다. 우리말 표기는 “살테리움, 살테리”, 북미영어 발음은 “설티어리엄, 설터리” 정도 될 것이다. 아래 그림은 BC 320 년경 고대 그리이스에서 제작된 도자기에 보이는 Psalterium 이다.
<악기 Psalterium – BC 320년경 그리이스 도자기>
2. George 왕은 뭐하던 사람이지 ?
이 별자리는 헝가리 태생으로 Vienna 천문대 Director 였던 Maximilian Hell (1720~1792) 이 Psalterium Georgianum 이란 이름으로 처음 만들어 1789년 그가 출판한 성도에 올렸고 다음 해인 1790년에 출판한 Ephemerides Astronomical 이란 책에도 소개했다. 별자리 위치는 Taurus 남쪽, Eridanus 북쪽이다. 현대 성도에 위치를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현대 성도에 표시한 Psalterium Georgianum (조지왕의 하프 자리)
성도 Sky and Telescope>
Maximilian Hell 이란 분은 Telescopium Herschelii (허셜의 망원경자리) 를 처음 고안했다고 Serial No 15 에서 소개드린 바 있다. 이 분이 1789년에 출판한 성도에 보이는 Psalterium Georgianum 을 찾아 보겠다. 첫번째 그림은 Serial No 15 에서 인용했던 그림이며 두번째만 여기서 처음 인용하는 것이다.
<Maximilian Hell 의 1789년 성도에 보이는 Psalterium Georgianum.
Taurus 남쪽, 그림 ianridpath.com>
<Maximilian Hell 의 1789년 성도에 보이는 Psalterium Georgianum.
Eridanus 북쪽, 그림 ianridpath.com>
이것은 당시의 영국 왕이던 George 3세 (재임기간 1760~1820, 생존 1738~1820) 를 위해 만든 별자리이다. 그런데 헝가리 태생이며 Austria 의 Vienna 천문대에서 일하던 Maximilian Hell 이 영국 왕을 별자리로 올려놓은 이유는 무엇일까 ? 그것은 Hell 이 존경해 마지 않던 영국의 William Herschel (1735~1782) 이 살던 시대의 왕이 George 3세였고, 이 사람이 Herschel 의 막강한 후원자였기 때문이다. Telescopium Herschelii (허셜의 망원경자리) 까지 만든 장본인이므로 왕을 별자리로 승격시키는 것은 일도 아니었을 것이다.
하지만 왜 굳이 왕의 “보검 (寶劍)” 이나 “문장 (紋章) 처럼 공식적이며 위엄 있는 물건이 아니고 단순한 악기인 Harp 였을까 ?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았으나 제가 접근할 수 있는 자료들에는 이에 대한 설명을 찾을 수 없었다. 아마도 그가 Harp 연주곡을 좋아했거나 애지중지하던 물건중의 하나가 아닐까 한다.
하여간 Maximilian Hell 이 1789년 창조한 이 별자리는 그 후 11년이 지난 1801년 발행된 Johann Bode 의 Uranographia 에 단어가 조금 평이한 것으로 변경되어 Harpa Georgii 라는 이름으로 살아 남았다. 동판 그림을 보면, Hell 의 성도에선 그리이스 시대의 전통적인 Psalterium 모양이었으나 Bode 의 Uranographia 에서는 당시에 사용하던 Harp 모습을 재현해 놓았다. 사실 지금 사용되는 Harp 도 200년 전 Bode 의 Uranographia 에 있는 것과 다르지 않다. 아래에서 Uranographia 의 Harpa Georgii 와 현재의 Harp 모양도 같이 비교해 보시지요.
<1801년 Johann Bode 의 Uranographia 에 있는 Harpa Georgii (오른쪽 아래)
그림 digitalgallery.nypl.org>
<위의 그림 부분확대. 그림 ianridpath.com>
3. Psalterium Georgianum 에서 보이는 민족주의 경향
1801년 Uranographia 이후에도 맨 처음 올려드린 1822년 Alexander Jamieson 의 성도 등에서 계속 명맥을 유지하였으나 1928년 삭제되고 말았다. Lyra (거문고 자리) 와 비슷했기 때문일 수도 있으나 그것이 Lyra 는 살리고 Harp 를 없앤 이유를 설명할 수는 없다. 진짜 이유는 제 생각에 아마도 근대 초기 실존하던 특정 국가의 왕과 관련된 별자리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정말 인류를 위해서 공적이 많은 위대한 왕이라면 그와 관련된 악기도 별자리로 남겨놓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 하지만 저는 Deporte 위원회 판단이 옳았다고 믿으며, 그 까닭을 아래에서 설명 드린다. 우선 이 별자리와 관계된 인물들의 소속 국가와 그들이 어떤 혈통인지 알아보겠다.
별자리와 관계된 인물 국 적 혈 통
--------------------------------------------------------------------------
Maximilian Hell 헝가리 모친이 독일계 (부친은 헝가리계)
George 3세 영국 독일 거주. 독일계 혈통 섞임.
William Herschel 영국 독일계. 독일 출생. 19세에 영국 이주.
Johann Bode 독일 독일계
--------------------------------------------------------------------------
지난호에서 말씀 드렸으나 William Herschel (1735~1782) 은 독일인 혈통으로 독일이며 태어나서 19세에 영국으로 이주했다. George 3세는 영국 왕이지만 혈통은 독일계이다. Stuart 왕가 마지막 여왕인 Anne 여왕이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예전의 영국 왕이었던 James 1세의 외증손자를 독일에서 데려와 왕으로 세우고 George 1세라고 불렀다. 이 사람은 그의 3대 조상부터 독일인과 혼인하였으므로 독일 혈통이라고 보아야 한다. George 1세부터 Hanover 왕조라고 부르며 George 3세도 당연히 독일계 혈통이다. 지금의 영국 왕조이름인 Windsor 왕조도 Hanover 왕조의 자손들이 1917년에 왕조 이름만 바꾼 것이다. 영국왕조 혈통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내역은 Serial No 10 을 참조 하십시오.
비록 제 의견이 속 좁은 편견이라고 비난 받을지도 모르지만, 위의 표에서 보시듯이 Psalterium Georgianum 에 관계된 인물들 모두 독일계 혈통이므로 너무 민족주의적 냄새가 나지 않을 수 없다. 특정한 왕 이름이 들어간 별자리를 만들면 모든 국가에서 우리 왕도 별자리 만들어달라고 아우성일테니 IAU 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만일 George 3세의 Harp 가 아니라 Aphrodite 여신의 Harp 였다면 결과는 달라졌을지도 모르겠지만…
4. 인생지사 새옹지마 (人生之事 塞翁之馬)
Maximilian Hell 이 1789년 이 별자리를 만들고 정말로 George 3세의 후원을 받았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짐작되는 것은 후원을 받았더라도 그리 많지는 않았을 것이란 사실이다. 왜냐하면 Hell 은 이 별자리를 만든 후 3년 밖에 지나지 않은 1792 년, 72세의 나이로 사망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George 3세는 그 보다 28년을 더 살고 1820년 82세의 천수를 누리다 사망했다. 1738년 출생인 George 3세는 1789년에 그의 이름을 딴 별자리가 생겼으니 그의 나이 51세 때이다. 한창인 나이에 밤하늘에서 막강한 신 (神)들과 폼나게 합석하게 되었으니 밤마다 잠들 때 흐뭇한 미소 짓지 않을 수 없었으리라.
그러나 그 자리도 영원하진 않았으니, George 3세가 목에 힘주며 앉아 있던 의자는 1928년 밤하늘에서 가차없이 퇴출되었다. 한편 Hell 이 사망한 후 143년이 지난 1935년에 달에 Hell 을 위한 새로운 책상이 마련되었다. 지구 과학자들이 달 남쪽동네 Desalandres 분지 안의 Crater 에 이 분 이름을 따서 조그만 안식처를 마련해 준 것이다. 아마 태양이 부풀어 지구와 달이 한 줌 연기로 사라질 때까지 앞으로 50억년 동안은 이 분 영혼이 여기서 머물 것이다.
인생지사 새옹지마 (人生之事 塞翁之馬)…. 역시 옛말에 틀린 것은 하나도 없는 듯.
<Maximilian Hell 이름을 딴 Hell Crater 위치. 달지도 원치복 서울지부 지부장님>
<위의 노란색 사각형 확대. Desalandres Crater 서쪽의 조그만 Crater 가 Hell Crater 임.
달지도 원치복 서울지부 지부장님>
III. Surprise & Mystery
Eta Carinae – 진짜 폭발 보여줄 날을 기대하시라
(1) 내 주소는 남천시 휘황구 찬란길 에타번지
한번 남천 둘러보니 북천보다 한 수 위인 듯하여 또 가고 싶다. 지난호 Journey to Deep Sky 에서 LMC (Large Magellanic Cloud, 대마젤란 성운) 내부에 있는 Tarantula 성운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남천에서 LMC 와 쌍벽을 이루는 Carina 성운 (Carina Nebula, 용골자리 성운) 내부의 Eta Carinae (용골자리 에타별) 를 살펴보려 한다. 북천 답사도 이제 겨우 시작인데, 벌써 무슨 남천이냐고 하실 분도 계시겠으나 저녁 식사 못 했다고 떡볶기 간식 먹지 말란 법 없고, 한라산 못 올랐다고 히말라야 트레킹 하지 말란 법은 없으리라. 우선 이번에 가 볼 곳이 남천 어느 구석에 있는지 사진과 성도부터 살펴본다.
<사진 왼쪽 상단의 가장 밝은 붉은색 성운이 Carina 성운. 배경은 Chile 에 있는 Paranal Observatory.
사진 Bahak Tafreshi. eso.org/public>
<붉은 색 원 내부 NGC 3372 가 Carina 성운. 그 옆에 보이는 Eta ( η ) 별이 Eta Carinae.
성도 Sky and Telescope >
위의 성도에서 지금은 없어진 별자리 Argo Navis (아르고 호 자리) 가 보이시나요 ? 왼쪽의 Vela 부분 육각형을 배의 돛으로 보시고, Pussis (고물자리) 부분을 배의 뒷부분, 그리고 붉은 색 원 부분을 배의 앞부분으로 생각하시면 커다란 “범선 (帆船)” 이 연상 되실 것이다. Argo Navis 라는 거대한 별자리는 AD 150년 Ptolemy 의 Almagest 에 나오는 48개 별자리 중의 하나였으나, 1756년 Nicolas Louis de Lacaille 가 Mémoires 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라는 책에서 Puppis (고물자리) / Vela (돛자리) / Carina (용골자리) 의 3개로 분할한 이후, 1928년 Deporte 보고서가 이를 그대로 수용해서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자세한 사항은 Serial No 13을 참조하십시오.
남반구 별자리는 생소하신 분들도 계시고 또한 “고물” 이 “골동품 (古物)” 인지, “용골자리”가 “용의 뼈 자리” 인지 농담하시는 분들도 가끔 보아와서 아래에 단어 뜻을 요약해 드린다.
별자리 우리말 영어 한자어 의 미
---------------------------------------------------------------------------------------
Carina 용골자리 Keel 용골 (龍骨) 배의 바닥 가운데를 따라 배 앞에서 뒤까지
연결한 배의 중심축.
Puppis 고물자리 Poop 선미 (船尾) 배 뒤쪽. 참고로 배 앞쪽은 “이물 (Bow, 船首)”.
Vela 돛자리 Sail 범 (帆)
----------------------------------------------------------------------------------------
오늘의 주인공인 Eta Carinae 는 우리말로 “용골자리 에타별” 이지만 여기서는 영어 그대로 Eta Carinae 로 표기하겠다. 그런데 이 “Eta Carinae” 는 단지 “별”을 뜻하지만 여기에 Nebula 붙여서
“Eta Carinae Nebula” 로 쓰면 Carina Nebula (용골자리 성운) 이란 뜻이 된다. 실제로 이 성운과 이 별은 너무도 유명해서 많은 다른 이름들로도 불린다.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용어 정리 먼저 해 드린다.
a) Carina Nebula 와 동일한 명칭 : 1. NGC 3372
2. Eta Carinae Nebula
3. Grand Nebula
4. Great Nebula in Carina
b) Carina Nebula 내부의 천체들 : 1. Eta Carinae (별)
2. Homunculus Nebula (성운)
3. Keyhole Nebula (성운)
4. Trumpler 14 (산개성단)
5. Trumpler 16 (산개성단)
6. HDE 303308 (별)
7. HD 93205 등 (별)
아래 사진은 Carina Nebula 거의 전부가 표시된 사진이다. 위에 표기 드린 천체들을 찾아 보십시오. 아래 사진에선 Homunculus Nebula 는 보이지 않고, 그 다음 사진에서 보여 드린다. 오늘의 주인공인 Eta Carinae (별) 는 왼쪽에 노란색 타원으로 표시했다.
<Carina Nebula 주변부. 사진 Hubble 망원경>
Eta Carinae 사는 동네 참 휘황찬란하다. 꼭 미켈란젤로가 그렸을 것 같은 추상화 분위기이다.
Hubble 사진 만드는 팀이 채색을 잘해서 그럴 수도 있지만, 원래 사진이란 것이 “원본 (Raw File)” 이 좋아야 “False Color” 도 잘 나오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하여간 휘황찬란한 동네 산다고 모두 개인적 품위가 찬란하다는 등식은 성립될 수는 없을 것이나, 역으로 반드시 그렇지 않다고도 말할 수도 없다. 그러면 Eta Carinae 품위는 어떤지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겠다. .
여담이지만, 저는 Eta Carinae 발음이 자꾸 “에카테리나” 로 잘못 발음된다. 이 사람은 18세기 러시아의 당찬 여자 황제였다. 제가 별보기 훨씬 이전에 세계역사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참고로 Carina 의 북미영어 발음은 “커리나” 이고 액센트는 “리” 에 있다. Eta Carinae 는 “이터 커리네이” 또는 “에터 커리니”로 발음된다. 단어마다 따로 다르게 발음해도 된다.
(2) – 0.8 ~ 8 등급으로 널뛰기하는 광도
Eta Carinae 는 질량이 태양의 100~150배 정도되는 Supergiant Star 이다. 광도는 태양의 400만배라고 하므로 짐작조차 되지 않는다. 이 별은 이중성으로 추정되는데, 위의 질량과 광도는 두 별을 합한 것이다. 이 별 중 한 개 또는 두 개 모두 인류 역사에 기록된 바로는 1843 년 한 차례 폭발이 관측되었고, 이 폭발로 인해 Gas 구름이 초속 670 km 로 지금도 분출되고 있다.
이 Gas 구름으로 생긴 성운을 Homunculus Nebula 라고 부른다. Homunculus 는 우리말로 어머니 뱃속의 “태아” 라는 말이다. 아래 사진 가운데 청백색 밝은 별이 Eta Carinae 이고, 아령처럼 분출된 회색빛 성운이 Homunculus Nebula 이다. 주의의 붉은색 Gas 성운과 더불어 자궁 속의 태아를 닮아서 붙은 이름이다.
<Eta Carinae 와 Homunculus Nebula. 사진 Hubble 망원경>
아시다시피 1603 년 Johannes Bayer 는 Uranometria 를 출간하면서 북반구와 남반구의 전 하늘 별들에 당시 존재하던 별자리의 각각 별들 밝기에 따라 차례로 그리이스 문자로 순위를 매겼다. 당시는 Argo Navis 가 분해되기 전이라서 이 별자리에 밝기에 따라 차례대로 24개 문자가 등록되었다. Eta 는 그리이스 문자에서 일곱번째이다.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제타/ 에타).
그런데 1756년 Lacaille 가 Argo Navis 를 Puppis/ Vela/ Carina 로 분해한 이후에도 Bayer가 붙인 그리이스 문자는 그대로 남아있게 되었다. 달리 말씀 드리면 Eta Carinae 는 분해된 별자리인 Carina 에서 일곱번째로 밝은 별이 아니고, Argo Navis 전체의 별들에서 1603년 당시 일곱번째로 밝은 별이었다는 뜻이다.
한편 핼리혜성으로 유명한 영국의 Edmond Halley 가 남천하늘을 답사하면서 1677년에 만든 목록에선 이 별을 안시등급 4등급이라고 그의 목록에 올렸으며, 이것이 역사상 최초로 이 별에 대해 등급을 매겨 목록에 올린 기록이다. 하지만 무슨 일인지 1730년에 이 별이 갑자기 밝아졌다가 1782년에는 다시 4등급으로 되돌아갔다고 한다. 이후 1820년에 다시 밝아지기 시작해서 1842년에 0 등급이 되었고 1843년 4월에 드디어 – 0.8 등급까지 밝아졌다. 이후 다시 어두워져 1900에서 1940년경까지 8등급을 유지하다가 1998년부터 다시 밝아져서 2007년에 6.2등급이었고 2012년 자료는 4.6 등급이다.
다시 말하면 약 400년 동안 광도가 8 등급에서 – 0.8 등급까지 널뛰기 하는 별이다.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Sirius 안시등급이 – 1.47 등급이므로, Eta Carinae 가 가장 밝아진 1843년 4월에 – 0.8 등급이었다면 밤하늘 전체에서 두번째로 밝은 별이었다는 의미이다. Sirius 는 지구에서 고작 8.6 광년 거리이지만 Eta Carinae 는 무려 7,500 광년 떨어져 있음도 감안하면 얼마나 밝았는지 상상하기 쉽지 않다.
(3) Supernova Impostor (유사 초신성) 의 뜻
20세기 이후 이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별들이 전체 밤하늘에서 7개 정도 더 알려지게 된다.
Eta Carinae 포함해서 그 별들 이름을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아래 별들 중 Eta Carinae 만 우리 은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고 나머지 모두 무리 은하 밖의 Deep Sky 에서 살고 있는 것들이다.
Eta Carinae/ P Cygni / SN 1954 J / SN 1961 V /
SN 1997 bs / SN 2006 jc / SN 2008 S / SN 2010 dn
별 명칭에 모두 SN 이 들어가 있으므로 이 별들이 초신성 (Supernova) 임을 아실 것이다. 그러나 이상한 것은, 초신성이란 별이 폭발한 것이므로, 별의 흔적이 남아 있다면 중성자성이나 백색왜성 정도여야 하는데, 어째서 아직도 Eta Carinae 는 지금도 상당한 광도를 유지하고 있는가 ?
이런 골치덩이 별들을 분류하려고 천문학자들은 영악하게도 <Supernova Impostor> 또는
<False Supernovae> 라는 명칭을 새로 만들어 분류한다. 위에 열거한 8 개 별들이 모두 여기에 속하는 별들이다. 이런 별들은 처음에 겉으로 보기에는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것 같이 보이지만 그 폭발은 별의 표면에서 일어난 것이고 원래의 별 내부구조 (Progenitor Star) 는 그대로 살아남아 굳세게 밝은 빛을 내고 있는 별들을 말한다. 마음에 드는 적당한 우리말 번역어를 찾지 못하여 제 임의로 <유사 초신성> 으로 번역해본다. 여기서는 <Supernova Impostor> 란 말을 그대로 사용한다.
초신성에 대해선 계속 많은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으나 이런 Supernova Impostor 의 물리학적 생성 원리에 대해선 현재 여러 가설들만 난무하는 상태이다.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은 별의 강력한 광도 (Luminosity) 가 복사압력 (Radiation Pressure) 을 증가시켜서 별 표면에서 폭발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더 상세한 내용은 사항은 저의 능력을 넘기 때문에 이 정도 밖에 설명 드리지 못함을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
헌데 폭발이야 그렇다치고라도 광도는 왜 세월에 따라 오르락 내리락 변화무쌍할까 ? Supernova Impostor 연구 초기에는 이중성의 식현상 (Eclipse) 으로 추정했으나 그 주기가 전혀 예상과 달라서 이 가설은 곧 폐기되었다. 지금은 이중성 중 한 쪽이 다른 별의 물질을 빨아들이면서 그 물질들이 광도를 차단한다는 가설이 보편적이지만 제 머리로는 아직 이해가 어렵다.
위에 열거한 Supernova Impostor 중에서 맨 마지막의 SN 2006 jc 는 Lynx (살쾡이 자리) 에 위치하며 지구에서 7,700 만 광년 떨어진 은하 UGC 4904 에 있는 별이다. 이 별은 2004년에 Kochi Itagaki 라는 일본의 아마추어 천문가에 의해 Supernova Impostor 폭발이 관측되었다. 그 후 불과 2년밖에 지나지 않아 드디어 초신성으로 장렬히 폭발하는 것이 관측되어 SN 2006 jc 란 목록번호가 생겼다. 그곳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시점으로 따지면 지구에 소행성이 충돌해서 공룡이 멸종했던 시대와 비슷.
<UGC 4904 은하내부의 초신성 SN 2006 jc. 사진 aric.or.kr (항공우주연구정보센터)>
<초신성 SN 2006 jc 확대사진. 사진 nasa.gov>
천문학자들 말로는 Eta Carinae 도 수천년내로 본격적인 초신성 폭발이 예상 된다지만
SN 2006 jc 도 Supernova Impostor 폭발이 일어나고 단지 2 년후에 초신성 폭발할지는 아무도 몰랐다. Eta Carinae 는 1843년에 Supernova Impostor 폭발이 감지되었으니 이미 170년이 흘렀다. 이 별까지 거리가 7,500 광년임을 감안하면 혹시 7,499 년전에 이미 폭발해서 그 빛이 지금쯤 Oort 구름을 통과하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아 ! 빨리 1년 내로 남반구로 가서 Eta Carinae 초신성 폭발을 사진으로 잡아봐야 되는데…
IV. Journey to Deep Sky
별 이름 사전 (3 회)
(1) 이 칼럼에서 <별> 의 의미
별 이름 칼럼이 끝날 때까지 당분간 Journey to Deep Sky 공간에 이 칼럼을 게재하려 합니다. 사전 형식이라 지루한 감이 있어 칼럼 중간으로 옮겼습니다.
별 이름 뜻을 알아보는 글을 쓰기 시작한지 3 회가 되는 지금에 와서야 생각나는 게 있어 말씀 드리겠다. 먼저 별에 붙은 무수히 많은 이름들 중에서 <어떤 별> 들의 이름을 알아보는지 정확히 규정하고 시작했어야 했다. 밤하늘 별에는 숫자를 셀 수도 없을 만큼 많음 별 이름들이 있고, 지금도 신생아 출생신고처럼 매일 무수히 많은 별들에 이름이 붙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말씀 드리는 별 이름은 아래의 원칙에 따른 별들로 규정해본다.
1. 오직 <별> 에 붙은 이름만 포함. 88개 별자리, Asterism, Deep Sky,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 등 제외.
2. <특정 의미>를 가진 단어로 이루어진 별만 포함. 목록번호 및 사람이름에 숫자를
붙인 것 등은 제외.
3. <전통적으로 전해오는 것> 만 포함. 망원경이 발명된 이후에 붙은 이름 제외.
1번은 언급드릴 필요 없을 것 같고, 2번과 3번만 보충설명 드린다. 목록번호란 SAO 40186 (Capella) 같은 것을 말한다. SAO는 Smith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 Star Catalog 를 말한다. 사람이름에 숫자를 붙인 것에는 Lacaille 8760, Lalande 21185 등이 있다. 망원경이 발명된 이후에 붙은 별 이름을 예로 들면 Trapezium 성단의 주요 별 이름 같은 것이다. 여기에 있는 주요 별들에는 Trapezium A~H까지 이름이 붙어 있다.
비록 이 칼럼에서 알아보는 별 이름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Trapezium 의미도 간단히 살펴보겠다.
Trapezium 이란 이름을 누가 붙였는지 기록을 찾지는 못했으나, 이 성단의 별을 최초로 관측한 사람은 Galileo Galilei 로 알려져 있고 1617년에 Trapezium A/C/D 세 별을 찾아냈다고 한다. 이미 잘 알고 계시겠으나 이 말은 <사다리꼴> 이란 뜻이다. 그리이스어의 영어식 표기 Trapezion 이 로마로 들어와 라틴어 Trapezium 이 되었고, 이것이 그대로 영어 단어로 흡수되었다. 그리이스어 Trapezion 은 영어로 “Little Table (작은 탁자) ” 뜻이었다고 한다. Trapezium 이란 이름은 성단의 주요 구성원 A/B/C/D 네 개 별들이 사다리꼴 모양이라 붙은 이름이다. 참고로 수학에서 사용되는 사다리꼴 뜻으로는 영국 및 호주 등에선 <Trapezium> 이 그대로 사용되나 미국, 캐나다 등 북미에서는 <Trapezoid> 라는 단어가 주로 쓰인다.
<Trapezium 성단. 사진 중심 분홍색 별.
맨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D/B/E (가장 작은 별) / A/C.
작아서 잘 안보이는 E 별을 제외하면 사다리꼴이다. 사진 NASA, Hubble 망원경>
(2) 마음으로 보는 별
밤하늘 전체에서 별 이름이 붙은 것은 과연 몇 개나 될까 ? 권위 있는 성도에 적힌 별 이름들을 모두 세어 보는 것은 끈기만 있으면 할 수 있지만 별로 추천드릴 만한 일은 아닐 것이다. 또한 실제로 별 이름이 존재하더라도 성도에 표기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보았다. Serial No 11 에서 소개드린 두 개의 별 이름 발음 사이트에 있는 것들을 세어 보았더니 모두 동일하게 247 개인데,
위에서 언급드린 4가지 원칙에 따라 다시 구분하면 240개 정도가 된다. 어떤 책에는 254개 별 이름들이 소개되어 있으나 일부 누락된 것들을 감안하면 254 개 보다는 좀 더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AL 로 시작하면서 어원이 아랍어인 것들은 아래에서 추가 드리는 5개를 포함하면, 이 칼럼에서 소개 드리는 것만해도 모두 45개가 된다. 나머지가 얼마나 더 있을지 알 수 없으나 철자만 조금 다른 유사한 파생어를 제외한다면 50개는 넘지 않으리라 본다. 만일 이름 붙은 별들을 260~270 개 정도라고 본다면, 별 5~6개중의 하나는 AL 로 시작하면서 어원이 아랍어인 것들이라 볼 수 있다 (45~50 개 / 260~270 개 = 17~18 %). 18 % 라면 결코 만만한 숫자가 아니며 AL 로 시작하는 아랍 출신 형제들이 얼마나 밤 하늘에서 막강 군단인지 실감하실 것이다. 만일 밤하늘 보시다가 별 이름이 “알딸딸” 하실 땐 “저건 <알> 로 시작하는 별” 이라고 하시면 맞을 확률 18 % 가 된다.
별 이름을 알고 있으면 밤하늘 즐기는 데 도움이야 되겠으나 그렇다고 목에 힘 줄 일은 아닐 것이다. 지난 호에서 “사랑은 자랑도 교만도 아니하며” , “낮은 데로 임하소서” 라고 말씀 드렸었다. 사랑이 어찌 사람에 대한 사랑뿐이랴. 별에 대한 사랑도 “겸손” 부터 시작하리라 믿는다. 비록 별 이름은 몰라도 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촉촉한 마음만 갖고 있으면 되지 않을까 ? 별은 <머리>가 아니고 <마음>으로, 또는 Serial No 14 에서 말씀 드린 <발바닥> 으로 보는 것일지도…
(3) AL 로 시작하는 아랍어 어원 별 5 개 추가
-----------------------------------------------------------------------
별 이름 1. 위치
2. 영문 의미 / 우리말 의미
3. 참조사항
----------------------------------------------------------------------
41) Albali 1. Aquarius 엡실론별
2. The Swallower / 물 마시는 사람. 아래 Albulaan 참조
42) Albulaan 1. Aquarius 뮤 ( μ ) 별 및 Aquarius 누 ( ν ) 별.
2. The Two Swallowers / 두 명의 물 마시는 사람들.
3. 두 개 별 모두 같은 이름 Albulaan 이라 부른다.
43) Albula 1. Aquarius 엡실론별, 뮤별, 누별 등 세 개 별을 한꺼번에 같이 호칭.
2. The Three Swallowers / 세 명의 물 마시는 사람들.
3. 물 마시는 사람 호칭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Albali 1명 / Albulaan 2명 / Albula 3 명
<Aquarius 엡실론별, 뮤별, 누별. 성도 Sky & Telescope>
44) Alemisan 1. Gemini 감마별
2. The brand / 표식
3. Alhena 로도 불리며, 같은 의미임.
Brand 라는 의미는 “낙타 목에 거는 표식”.
쇠로 만들어 반짝이므로 “The shine (반짝이는 것)” 이라는 의미.
Serial No 15. 별이름 칼럼 (17) 번 참조
45) Alkes 1. Crater 알파별
2. The cup / 컵
3. “컵자리” 의 “컵 별” 이란 뜻
(4) AL 이 없으면서 어원이 아랍어인 별 49 개
원래 계획은 이번 호에서 AL이 없으면서 어원이 아랍어인 별 중에서 유명한 것들 20개 정도만 골라서 그 뜻을 알아보려 했으나 차제에 조사할 수 있는 것 모두 게재한다. 아랍출신 별들이지만 AL 이 들어가지 않고 다양한 발음들이므로 지난번 보다는 덜 지루하실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나중에 아랍어로 변화하지만 원래 고향은 페르시아인 별 3개도 같이 알아본다.
1) Acamar 1. Eridanus 세타별
2. The End of the River / 강의 끝
2) Achernar 1. Eridanus 알파별
2. The End of the River / 강의 끝
3. 이 별이름도 Acamar 와 동일하게 강의 끝이란 의미이다.
어째서 두 별 모두 같은 뜻인지 바로 아래 칼럼 Coffee Break 에서 알아보겠다.
3) Adhara 1. Canis Major 엡실론별
2. Virgins / 처녀들
4) Betelgeuse 1. Orion 알파별
2. The Hand of Orion / 오리온의 팔
3. 이 별 이름에 대한 다른 가설을 보면 아래와 같음.
The Armpit of the Might One (힘센 사람 – Orion 의 겨드랑이) 또는
The House of Orion (Orion 의 집) 등이 있음. 그러나 여러 고증에 따르면
The Hand of Orion 이 정설로 보임.
5) Deneb 1. Cygnus 알파별
2. Tail 또는 Tail of the Hen / 꼬리 또는 암탉의 꼬리
3. 밤하늘에서 7개 별 이름에 Deneb 라는 접두어가 붙음.
Deneb 를 비롯해서 Deneb Kaitos / Deneb Algedi 및
Denebola / Deneb Alased / Denebalezeth / Deneb Aleet 등.
모두 어떤 동물의 꼬리 나타냄. (아래 (6) (7) (8) (9) (10) (11) 참조)
6) Deneb Kaitos 1. Cetus 베타별 (실제론 알파별 보다 더 밝은 별로서 Cetus 에서 가장 밝음)
2. Southern Tail of Cetus / 고래의 남쪽 꼬리
3. 다른 이름으로는 Diphda 라고 불림. (아래 (12)번 참조)
7) Deneb Algedi 1. Capriconus 델타별
2. Tail of the Goat / 염소의 꼬리
3. 다른 이름으로는 Sheddi 라고 불림. 염소의 꼬리라는 같은 의미.
8) Denebola 1. Leo 베타별
2. Tail of the Lion / 사자의 꼬리
3. Deneb Alased 를 줄인 단어.
Denebalezeth 로도 불림. (Alphonsine Table 에 기록된) 명칭.
Deneb Aleet 로도 불림. (R.A. Proctor의 Start Chart 에 기록된) 명칭.
모두 사자의 꼬리라는 뜻.
9) Deneb Alased 1. 위의 8) Denebola 참조
10) Denebalezeth 1. 위의 8) Denebola 참조
11) Deneb Aleet 1. 위의 8) Denebola 참조
12) Diphda 1. Cetus 베타별 (Diphda 및 Deneb Kaitos 의 두가지 이름이 붙어있음)
2. The Frog / 개구리. 특히 The Second Frog (두번째 개구리) 을 말하며 .
첫번째 개구리는 Fomalhaut 를 지칭함.
3. Deneb Kaitos 는 위의 (6) 번 참조.
13) Dschubba 1. Scorpius 델타별
2. The forehead / (전갈의) 이마
3. Dzuba (아랍어), Iclarcrau, Iclakrav (그리이스어) 등으로도 불림.
모두 같은 의미.
14) Dubhe 1. Ursa Major 알파별
2. The Bear / 곰
15) Elnath 1. Taurus 베타별
2. Butting Horn / (황소) 뿔로 들이받음.
16) Eltanin 1. Draco 감마별
2. The Great Serpent, The Great Dragon, Sea Monster / 큰 뱀, 큰 용, 바다괴물
3. 감마별이지만, Draco 에서 제일 밝은 별.
다른 철자로는 Etamin, Ettanin 으로도 쓰임.
17) Enif 1. Pegasus 엡실론별
2. The Nose / (Pegasus 의) 코.
18) Fomalhaut 1. Piscis Austrinus 알파별
2. Mouth of the Fish / 물고기 주둥이
3. 이 별에 대한 상세한 내역은 Serial No 6 참조.
19) Hadar 1. Centaurus 베타별
2. The Settled Land, Earth, Ground, Civilization / 정착지, 땅, 문명
3. 위의 의미가 Centaurus 에는 맞지 않았는지, 로마시대에 라틴어로는
Agena 라고도 불림. 의미는 The Knee 로서, Centaurus 무릎을 뜻함.
20) Hamal 1. Aries 알파별
2. The Ram / 숫양
3. 아랍어를 영어로 쓴 단어 Ras al hamal (숫양의 머리) 에서 유래함.
다른 철자로는 Hemal, Hamul 로도 쓰임.
21) Izar 1. Boötis 엡실론별. 이중성.
2. Veil / 베일
3. 로마시대에 라틴어로는 Pulcherrima 라고도 불림.
의미는 The Loveliest 로서, “최고로 예쁜, 사랑스러운 사람” 의미. .
베일에 가린 보일 듯 말 듯한 얼굴이 가장 사랑스러운 듯.
22) Kochab 1. Ursa Minor 베타별
2. The Star / 별
3. 아랍어 The North Star 라는 단어의 줄인 말.
23) Markab 1. Pegasus 알파별
2. The Saddle of the Horse / 말 안장
24) Megrez 1. Ursa Major 델타별
2. The Base / 시작 부분
3. The Base는 The Base (of the Bear’s Tail) 을 뜻함.
곰 꼬리의 시작 부분이며, 꼬리가 엉덩이에 붙은 곳을 말함.
25) Menkalinan 1. Auriga 베타별
2. Shoulder of the Charioteer 또는 Shoulder of the Rein-holder /
마차부 어깨 또는 고삐 잡은 사람의 어깨.
26) Menkar 1. Cetus 알파별
2. Nostril of the Cetus (Whale) / Cetus (고래) 의 콧구멍
3. Menkab 라고도 씀.
27) Merak 1. Ursa Major 베타별. Phecda 와 같이 북두칠성 국자 사각형 받침 부분.
2. The Loins (of the Bear) / (곰의) 허리, 아랫배
3. 참고로 소고기 “등심” 은 Sirloin, 안심은 “Tenderloin” 임.
28) Miaplacidus 1. Carina 베타별
2. Placid Waters / 평온한 바다 (수면)
3. 이 별 이름 역사는 1856년 Elijah Hinsdale Burritt 가 쓴 Geography of the
Heavens 에 처음 등장함. 당시는 무슨 뜻인지 사람들이 모르고 있다가
수십년이 흐른 뒤에 아랍어 Miyah (Water) + 라틴어 Placidus (Placid) 의
합성어란 가설로 설명되었음.
29) Mintaka 1. Orion 델타별
2. The Belt / 허리띠
3. Alnitak (제타별), Alnilam (엡실론) 과 함께 Orion Belt 로 불림.
최소한 오중성 이상으로 구성된 다중성계.
30) Mira 1. Cetus 오미크론 별
2. The Wonderful / 대단히 멋진 별
3. 변광성, 이중성.
31) Mirfak 1. Perseus 알파별
2. The Elbow / 팔꿈치
3. Marfak, Mirphak 등 철자로도 쓰임.
32) Mirzam 1. Canis Major 베타별
2. The Herald 또는 The Roarer announcing Sirius /
전령 또는 Sirius 가 뜨는 것을 알리는 별
3. Sirius 가 이 별에 뒤따라서 뜨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음.
아래 성도 참조. Murzim, Al murzim 철자로도 씀.
<성도에서 붉은 색 원이 Mizram 이다. 성도 왼쪽이 동쪽이므로 북반구에서 밤하늘을 보면
동쪽 지평선에서 Mizram 이 먼저 뜨고 뒤따라서 Sirius 가 뜬다. 성도 Sky & Telescope>
33) Mizar 1. Ursa Major 제타별
2. Girdle, Waistband / 허리띠
3. Mizar 와 Alcor 에 대해선 Serial No 14 참조
34) Phact 1. Columba 알파별
2. The Dove 또는 The Ring Dove / 비둘기 또는 목에 목걸이 모양 있는 비둘기
35) Phecda 1. Ursa Major 감마별. Merak 과 같이 북두칠성 국자 사각형 받침 부분.
2. The Thigh (of the Bear) / (곰의) 허벅지
36) Rasalgethi 1. Hercules 알파별
2. Head of the Kneeler / 무릎 꿇은 사람의 머리
3. “Ras” 는 아랍어로 “머리 (Head)” , “처음, 첫번째 (Beginning, the first)” 뜻임.
Ras Algethi 로 Ras 를 띄어 쓰기도 함.
37) Rasalhague 1. Ophiuchus 알파별
2. Head of the Snake man / 뱀주인 머리
3. Ras Alhague 라고 띄어 쓰기도 함.
38) Rasalmothallah 1. Triangulum 알파별
2. Head of the Triangle / 삼각형 머리
3. Ras al Muthallah 또는 Mothallah 철자로 쓰기도 함.
39) Rigel 1. Orion 베타별
2. The Foot of the Great One / 위대한 자의 발
3. Serial No 15 참조
40) Sabik 1. Ophiuchus 에타별
2. Preceding / 앞서가는 (별)
41) Saiph 1. Orion 카파별
2. The Sword (of the Giant) / (거인의) 검 (劒)
3. 원래 Saiph 란 단어의 어원은 Saif Al Jabbar 임. 뜻은 “거인의 검 (劒)”.
이 단어가 두 가지로 변형되어 아래 두 별 이름이 되었고 모두 같은 의미임.
Saif Al Jabbar à Saiph (Orion 카파별)
à Algiebba (Orion 에타별)
Saiph 의미가 이 별의 위치에 맞는 이름은 아니므로 17세기에 발행된 성도인
Calendarium 에는 라틴어로 Genu Dextrum Gigantis 로 기록되기도 함.
뜻은 Right Knee of the Giant. (거인의 오른쪽 무릎).
기타사항은 Serial No 15 의 (14) Algiebba 참조.
42) Scheat 1. Pegasus 베타별
2. The Upper Arm 또는 Horse’s Shoulder / 팔 위쪽 (상박) 또는 말의 어깨
43) Schedar 1. Cassiopeia 알파별
2. Breast / 가슴
3. Shedir, Shendar, Shadar, Sheder, Seder, Shedis, Shedir 등 철자로도 씀.
44) Shaula 1. Scorpius 람다별
2. The Raised / 우뚝 선 것.
3. 의미는 The Raised (Tail of the Scorpion) 로서, 우뚝 선 (전갈의 꼬리) 를 말함.
45) Thuban 1. Draco 알파별
2. Snake / 뱀
3. 지구 자전축 세차운동 (Axial Precession) 으로 Thuban 은 BC 3000년경 북극성
에 가까운 위치에 있었고, 세차운동 주기가 25,770년이므로 AD 23000 년경에
다시 북극성 위치에 돌아옴.
46) Vega 1. Lyra 알파별
2. Falling (Eagle) / 하강하는 독수리
3. 고대 이집트에선 Lyra 자리가 Eagle 자리였고, 이런 전통 때문에
Vega 란 별 이름이 남아 있게 됨.
한편 지구 자전축 세차운동으로 Vega 는 BC 12000 년경 북극성 위치와 5도
정도 각거리에 있었고 AD 14000 년경에 다시 북극성에 가까운 위치에 돌아옴.
47) Zubenelgenubi 1. Libra 알파별
2. Southern Claw / 남쪽 발톱
3. Serial No 11 참조
48) Zubeneschamali 1. Libra 베타별
2. Nothern Claw / 북쪽 발톱
49) Zubenelakrab 1. Libra 감마별
2. Scorpio’s Claw / 전갈의 발톱
(5) 페르시아어가 어원인 별 3 개
1) Alcor 1. Ursa Major 제타별인 Mizar 와 이중성
2. The Abject one, The Forgotten One, The Neglected One /
비천한 사람, 잊혀진 사람.
3. 나중에 아랍어로 변화함. Serial No 15 참조
2) Alshain 1. Aquila 베타별
2. The Peregrine Falcon / 송골매
3. 나중에 아랍어로 변화함.
3) Tarazed 1. Aquila 감마별
2. The Plundering Falcon / (먹이 잡으려 내리 꽂히는) 사냥하는 매
3. 나중에 아랍어로 변화함.
여기까지 아랍어와 관계있는 별 이름들을 알아보았다. <AL> 이 들어가는 것 45개, 기타 아랍어 49개 및 페르시아 어원 3개 등 모두 97 개이다. 어떤 자료에선 아랍어 어원인 별을 164개 소개해 놓았으나 그곳에도 위에서 소개 드린 몇 개 별들이 빠져 있기는 하다. 아마도 아랍어가 어원인 별 이름은 대략 170~180 개 정도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여기서 97개를 살펴 보았으니 중요한 것들로 약 50 % 정도 알아보았다고 생각하시면 될 듯하다. 다음 호에선 그리이스 및 라틴지역이 고향인 별들을 살펴보겠다.
V. Coffee Break
Eridanus 강은 지금 어디 있는 강일까 ?
(1) Acamar, Achernar 뜻이 모두 “강의 끝” 인 사연
Acamar 의미인 “강의 끝” 의 “江” 은 Eridanus 강이다. 그런데 별자리 Eridanus (에리다누스 자리) 에서 실제로 강의 끝에 있는 별 이름은 위 칼럼에서 언급드린 Achernar 별이다. 별자리 Eridanus 의 중간에 있는 Acamar 가 어떻게 “강의 끝”이 되었는지 이상하므로 그 사연을 알아보겠다. 우선 정말로 Acamar 가 강의 중간에 있고 Achernar 가 강의 끝에 있는지 별자리 Eridanus 의 성도부터 보고 시작한다. 아래 성도 보시면 붉은 색 원으로 표시한 별들이 각각 Acamar 와 Achernar 이다.
<별자리 Eridanus의 성도. 그림 Sky and Telescope>
Eridanus “강 중간” 에 있는 별 이름이 “강의 끝” 의미인 Acamar 가 된 사연을 알아보려면
먼저 Acamar 와 Eridanus 별자리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들과 그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을 같이
알아 보아야 할 것이다.
Eridanus 별자리는 Ptolemy 의 Almagest 에 처음 나오는데, 이 사람은 혈통이 그리이스 인이며, 로마시대에 로마영토인 Egypt 의 Alexandria 에서 거주했다. (Serial No 12 참조) 비록 Almagest 에 처음 나타나지만 Eridanus 별자리를 누가 처음 만들었는지는 기록이 없다. 하지만 이 단어가 Greece 어이므로 Greece 인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가정한다. Greece 인들이 고대 Babylonia 별자리를 참조해서 만들었다는 가설도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다시 소개 드린다.
------------------------------------------------------------------------------------
단 어 어원, 사용언어 인 종 거 주 지 역 대 표 도 시
------------------------------------------------------------------------------------
Acamar Arab 어 Arab 인 Mesopotamia (Irag 북부) Baghdad 로 가정
Eridanus Greece 어 Greece 인 Greece Athens
Ptolemy Latin/Greece 어 Greece 인 Egypt Alexandria
------------------------------------------------------------------------------------
그러면 위의 대표도시들에서 Acamar 와 Achernar 가 보이는지 알아본다.
-----------------------------------------------------------------------------
북위 위도 출몰성 Acamar Achernar
남방적위 한계
- (90 – 위도) (적위 - 40 도) (적위 - 58 도)
-----------------------------------------------------------------------------
Athens 38 도 - 52 도 O (보임) X (안보임)
Baghdad 33 도 - 57 도 O X
-----------------------------------------------------------------------------
Alexandria 31 도 - 59 도 O O
Egypt 남쪽 22 도 - 68 도 O O
-----------------------------------------------------------------------------
위에서 보시듯이 Athens 와 Baghdad 에서는 Acamar 는 보이지만 Achernar 는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Eridanus 별자리나 Acamar 라는 별 이름 모두 애시당초 Mesopotamia 지역인 Baghdad 부근에서 유래했다고 본다면 <Acamar> 가 “강의 끝” 이 되었을 것이란 추정이 가능하다.
또한 Alexandria 에 살던 Ptolemy 가 그 이전부터 내려오던 여러 별자리들을 정리하면서 Eridanus 별자리를 성도에 표기할 때 Alexandria에서 가까스로 보이던 Achernar 까지 Eridanus 별자리에 포함시켰다는 추정이 가능할지도 모른다. Achenar 라는 별 이름도 Acamar 가 아랍어 임을 감안해서 Ptolemy 가 “강의 끝” 이란 같은 뜻의 아랍어를 골라 붙여 놓았을지도. 이렇게 두루뭉실 표현드린 이유는 많은 부분이 제 개인적인 가설이기 때문이며, “믿으시거나 말거나” 입니다.
(2) Eridanus 강 위치 탐사
그런데 별자리 Eridanus 가 강 (江) 임은 모두 아시겠지만 이 강은 어디에 있는 강일까 ?
어떤 자료에는 Ptolemy 의 Almagest 에 처음 등장한 별자리이므로 그가 살던 Egypt Nile 강
이라던가 또는 아랍인들이 예전부터 만든 별자리이므로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Euphrates 강
(유프라테스강) 이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이런 가설들은 이 별자리가 많이 알려진 중세 이후에 생긴 말들이다. 실제로 이 강이 어느 강이었는지 아직 정확히 밝혀진 사실은 없고 여러가지 가설들만 난무한다. 재미 삼아 몇 가지 가설들을 알아본다.
1. Babylonia 기원설
위에서 언급 드린대로 이 별자리는 AD 150년 Ptolemy 가 저술한 Almagest 에 처음 등장하는 48개 별자리 중 하나이다. 그러나 Ptolemy 가 새로 만든 것은 아니고 고대 그리이스 시절부터 구전으로 전해오는 별자리를 Ptolemy 가 정리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에 따르면 이 별자리는 그 시대보다 더 오래 전인 고대 Babylonia 별자리를 참조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실제로 점토판에 설형문자 (Cuneiform) 로 기록된 Babylonian Star Catalog 가 발굴된 적이 있고, 제작년도는 BC 1200 년경으로 추정되었다. (Serial No 13 참조).
하여간 Babylonian Star Catalog 가 만들어지기 무려 500년 전인 BC 1700 년대의 고대 Babylonia 의 Hammurabi 왕 시대에 <The Star of Eridu> 라는 별자리가 있었으며, 이 별자리가 그리이스에 들어와서 Eridanus 자리가 되었다는 가설이다. <Eridu> 는 Hammurabi 왕 시대에 Babylonia 제국 최남단에 있던 도시로서, 땅 밑에 흐르는 “지하수 강” 을 다스리는 Enki-Ea 신이 다스리던 도시로 알려져 있다. 땅 밑 지하수 강과 관련된 Eridu 라는 도시의 상징 별자리가 그리이스에 들어와 Eridanus 별자리가 되었다는 설명인데, Eridu 라는 도시는 지금의 Iraq 지역 최남단에 있었다. 아래 지도에서 Eridu 를 한 번 찾아 보시지요.
<고대 Babylonia 제국 최남단에 있던 도시 Eridu>
2. 그리이스 신화 기원설
이 가설은 Phaëton 신화와 연결된다. 태양신 Helios 의 아들인 Phaëton 은 아버지 Helios 의 자가용 태양전차를 초보 운전자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몰다가 결국 많은 인명피해를 낸다. 이를 보다 못한 Zeus 가 번개를 내리쳐 태양 전차를 전복시키고 Phaëton 도 같이 사망하는데, 이 때 그가 태양전차와 같이 추락한 곳이 바로 Eridanos 강 또는 Eridanus 강이라 한다.
<The Fall of Phaëton (파에톤의 추락). 그림 Johann Liss. 17세기>
3. 고대 Athens 기원설
그리이스 아테네에서 1990년대 지하철 공사 중에 지하에서 작은 강의 흔적을 발견했는데 고대 그리이스 시대에 이 강이 Eridanos (Eridanus 가 아님) 으로 불렸다는 고고학적 증거를 찾았다. 또한 2007년에 그 것과 멀지 않은 곳에서 이 강의 지류였던 것으로 보이는 작은 냇물 흔적도 발견해서 복원했다. 아래는 2007년에 발견된 냇물를 복원한 사진이다.
<2007년에 발견된 Eridanos 강의 지류인 냇물을 복원한 것>
4. Italy 의 Po 강 기원설
Italy 북부에 있는 Po 강은 로마시대 이전에 쓰던 “Ligurian 언어” 로 Bodincus 또는 Bodencus 라고 불렸다. 이 말이 로마시대에 들어와 Latin 어로 Eridanus 또는 Padus 라고 불렸고 현재 Italy 어로는 Po 강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이 강은 본류 길이만 650 km 또는 680 km 이며 Italy 에서 제일 긴 강이라고 한다. 참고로 우리 한강은 북한강, 남한강 합쳐서 약 405 km. Po 강은 Italy 북부의 Alps 산맥 바로 밑에 있으며 Italy 동부로 흘러 들어간다. 아래는 Po 강이 표시된 Italy 북부 지도이다.
<Italy 북부를 흐르는 예전 이름 Eridanus 강. 지금 이름은 Po 강>
(3) 사견 (私見)
위의 가설들에 나타난 Eridanus 강의 위치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a) Babylonia 기원설 : Eridu 도시 지하에 흐르는 강
b) 그리이스 신화 기원설 : 그리이스 또는 중부유럽
c) 고대 Athens 기원설 : 그리이스 Athens
d) Italy 의 Po 강 기원설 : Italy 북부
그러면 과연 어느 가설이 가장 신빙성 있다고 생각되시는지요 ? 저는 Babylonia 기원설에 한 표 던지고 싶다. 이 가설이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 되었고 Babylonia 에서 만들어진 많은 별자리들이 그리이스로 전해졌으며, Phaëton 신화에서 그가 떨어져 사망하게 되는 강이 “지하에 흐르는 강” 이라면, 그 강은 사후 세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리이스의 다른 신화에서 Apollon 의 아들 Orpheus 가 아내를 구하기 위해 저승을 갈 때 건넜던 강 이름도 Eridanus 강임을 감안하면 “지하세계에 흐르는 강” 이미지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Eridanus 강은 지하에서 흐르는 강이므로 지구 위에서 눈 씻고 찾아 보아야 보일 리가 없을 것이다. 어차피 별자리는 별로 되어있고, 별은 <머리>가 아니고 <마음>으로 보는 것이라면 굳이 Eridanus 강이 어디 있는지 모른다고 답답해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헌데 전세계 많은 분들이 훗날 언젠가는 <Jordan 강 (요단강)> 을 건너실 것이고, Babylonia 지역이나 그리이스 분들은 <Eridanus 강>을 건너실 것이며, Italy 분들은 <Po 강> 을 건너실텐데, 제 앞에는 나중에 과연 <어떤 강> 이 나타날지 궁금해진다. 이상하게 글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전개되어 갑자기 우울해지는 듯.
VI. Moon River Wider Than a Mile
달 전체에서 제일 큰 지형 South Pole-Aitken
(1) 미지의 영토, 달의 뒷면
사람이 제 아무리 재주가 많고, 또한 과학이 아무리 발전해도 자신의 눈으로 직접 자기 뒤통수를
볼 수는 없다. 사실 눈이 얼굴에 달려 있다고 자기 얼굴 볼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비유가 딱히 맞지는 않으나 지구의 망원경이 아무리 발달해도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인 달의 전부를 볼 수는 없다. 달은 동주기 자전하는 위성이므로 지구에서 볼 때 항상 같은 면만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칭동으로 인해 달 뒷면을 조금씩 “감질나게” 보여주긴 한다. 경도칭동 (Libration in Longitude) 각도는 ± 7.95 ° 이며 이로 인해 달의 뒷면 서쪽, 동쪽이 조금씩 더 보이고, ± 6.85 °인 위도칭동 (Libration in Latitude) 때문에 달의 뒷면 북쪽, 남쪽이 더 보여서, 달은 그 전체 면적의 약 59 % 를 지구에 보여준다. (Serial No 4 와 5 참조).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뒷면이 고작 변방의 9 % 밖에 되지 않으므로 나머지 41 % 는 인류가 우주선 타고 달 뒷면으로 갈 때 까지는 “가깝지만 전혀 알 수 없는” 미지의 영토였다. 이 때문에 달 뒷면은 인류가 마늘이나 바나나 먹던 시절부터 갖은 억측이 난무하는 신비의 대상이 된 것이다.
그렇다고 지금은 우리가 달 뒷면에 대해 많이 안다고 할 수 있을까 ? 사실 달 앞면의 여러 지형의 이름과 특징을 줄줄이 꿰고 계신 분들도 달 뒷면의 Crater 이름은 모르시는 분들도 많다. 제 생각에도 사실 보이지도 않는 데 굳이 알 필요는 없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달 앞면만이 아닌 달 뒷면까지 포함해서 <제일 큰 충돌 Crarter> 를 찾다보니 달 뒷면에 있었다. 이번 기회에 달 뒷면 지형들도 일견하시는 기회가 되시기 바란다.
(2) Mare, Basin, Carter 의 차이점
지난호 Serial 5 에서 달 앞면에서 제일 큰 Crater 는 무엇인지 알아 보았었다. 당시 제가 선정한 금메달 대상은 Clavius 였으나 Carter 를 어떻게 정의 하는가에 따라 수상자는 달라질 것이다. 사실 달이 있는 지형인 Mare (바다), Basin (분지) 및 Carter (충돌분화구) 들에 대한 정확한 구분은 없으며 한 개 지형이 여러 명칭으로 불리는 것들이 많다. 예를 들어 Nectaris 는 Mare 와 Basin 으로 불리고, Grimaldi 는 Crater 와 Basin 으로 불리며, Deslandres 도 Crater 와 Basin 으로 불린다. 그러나 Clavius 만은 Basin 으로 불리지 않고 오직 Crater 로만 불리기 때문에 <앞면 최대 Crater 상>을 준 것이다.
Mare 는 Basin 과 명칭이 중복되는 경우가 많고, Basin 은 Carter 와 많이 중복된다. Mare 는
용암 때문에 검게 보이는 지형이라 구별이 비교적 쉬우나, Basin 과 Carter 구분에는 논란이 많다. Seriial No 5 에서 언급 드린 것처럼 아래에 이 두 지형을 구분하는 대강의 기준을 다시 적어 드린다. 이런 구분을 먼저 말씀 드리는 이유는 명칭이 Mare 이든 Carter 이든 Basin 이든 상관 없이 <충돌>로 만들어진 가장 큰 지형을 찾아보려 하기 때문이다.
구 분 Basin Crater
------------------------------------------------------------
직 경 300 km 이상 300 km 미만
중앙 산봉우리 없음 있음
외곽고리 (Rim) 여러 개 한 개
-------------------------------------------------------------
(3) 大大益善 (대대익선) ? 크다고 다 좋을까 ?
오늘의 수상자부터 발표하면 소제목에서 보시듯이 South Pole-Aitken 이 금메달이다. South Pole 이란 접두어가 붙은 이유는 이 지형의 북쪽 경계 (Rim) 부근에 별도로 <Aitken Crater> 란 지형이 있어서 이것과 구별하기 위함인데, 이 Crater 는 맨 아래 부분에서 소개 드리겠다. South Pole-Aitken 은 Crater 로는 불리지 않고 Basin 이란 용어로만 쓰인다. 아래사진 보시면 이유가 짐작되실 것이다. 우선 용암이 덮고 있지는 않고 크기가 거대하며 중앙 뾰족 산봉우리는 다른 천체에 얻어맞아 없어진지 이미 수십억년 지났다. 그 아래 그림은 South Pole–Aitken 의 전체 모습이 보이도록 달의 남극을 조금 올려서 만든 사진이다.
<달의 뒷면. 남쪽 부분 거무튀튀한 부분이 South Pole – Aitken>
<짙은 청색은 South Pole – Aitken 의 안쪽 Rim 영역.
밝은 청색은 바깥쪽 Rim 까지 포함한 영역. 아래쪽에 달의 남극이 표시됨.
노란색으로 달의 앞면에서도 보이는 지형을 표시함.
그림 LTVT Image 위에 Crater 이름 추가>
바깥쪽 Rim 부터 잰 직경은 약 2,500 km 이고 가장 깊은 곳은 달 표면에서 13 km 에 이른다. 달 뿐만이 아니라 태양계 전체에서도 크기로 따져서 몇 순위 안에 든다고 한다. 크기 및 깊이로 최고를 자랑하지만, 나이로도 달에서 최고령자이다. 달 나이는 약 45억세인데 이 지형은 40억년전에 만들어 졌으니 달 초창기인 Pre-Nectarian Period (45.0~39.1억년 전) 에 생긴 것이다. 이 지형이 얼마나 큰지 감이 안오실 것 같아 서울을 중심으로 크기를 그려 보았다. 참고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는 약 450 km.
<South Pole–Aitken 크기. Google map 에 붉은색 원 추가>
South Pole–Aitken 은 40억년 전에 생겼으므로 그동안 무수히 많은 천체들에 두들겨 맞아 수많은 Crater 들을 품에 안고 있다. 얼핏 생각하기론 거대한 천체가 달 표면에 수직으로 충돌했을 것 같은데, 사실은 약 30° 각도로 부딪혔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 지형의 깊이 13 km 는 30° 각도 충돌 때문에 그리 깊지는 않은 것이라고 한다. 만일 수직으로 충돌했다면 ? 아마 달이 쪼개졌을지도.
흥미로운 사실은 거대한 크기 때문에 달 앞면에서도 이 지형의 아주 작은 부분이나마 관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달 앞면 남쪽 Limb 에서 이 지형의 외곽 Rim 에 뻗어있는 Leibnitz Mountains (라이프니츠 산맥) 의 일부가 보인다. Leibnitz Mountains 이란 이름은 아마추어 천문가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이름이며 IAU 의 공식명칭은 아니다. 아래 달 지도에 에 이 산맥 위치를 표시해 보았다.
<Leibnitz Mountains – 노란색 화살표. 달지도 원치복 서울지부 지부장님>
더불어 South Pole–Aitken 주변 지형 이름이 나온 지도를 아래에 올려 드린다. 위에 올려드린 채색된 그림과 비교해 보십시오.
<South Pole – Aitken 주변 지형>
참고로 Aitken 이란 명칭은 미국 천문학자 Robert Grant Aitken (1864~1951) 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이 분 이름은 소행성 Aseroid 3070 Aitken 및 달의 South Pole – Aitken 북쪽 Rim 에 있는 135 km 직경의 Carter 도 이름이 붙어있다. 이 분 모습과 Aitken Carter 위치 보이는 사진도 같이 보여 드린다.
<Robert Grant Aitken> <Aitken Carter 위치. 사진 가운데에 보임. .
사진 lunar orbiter images>
칼럼 쓰려고 South Pole–Aitken 에 대해 이런저런 자료들을 찾아 보면서 같이 어울린 시간이 꽤 되는데도 이전에 살펴본 다른 조그만 지형들에 비해 그다지 정이 가지 않는 것은 참 희한한 일이다. 물론 평소에 볼 수는 없고 우주선이 지구 밖으로 나가 찍은 사진을 보는 것에 만족해야 하는 처지라서 그럴 수도 있다.
달리 생각해보면 이 지형이 너무 거대해서 아기자기한 맛을 느낄 수 없어 그런지도 모를 일이다. 요즘처럼 큰 키,
커다란 눈, 길다란 가방끈, 거대한 재산목록 등 “대형화, 거대화” 만 쫒아 다니는 세태가 싫증나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다. 한편으론 애완동물 경우처럼 커다란 것들 보다는 자그마한 아기 동물들에 더 정이 가는 것과 비슷한
이유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제 개인적으론, 남들에게 아기자기하게 보이지 않아도 좋으니 “롱다리” 란 소리 좀
들어봤으면....
Astro News <끝>
남천하늘과 달 뒷면 지형 설명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