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회원가입안내



  • 47
  • 2510809
(*.52.241.40) 조회 수 9312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담객설                                                         201425 

           

                                                          <   

                                

                       (1) 목성은 인 날에 가장 밝을까 ? 

                       (2) 생각나는 몇 가지 차이들

                       (3) 목성을 세성 (歲星) 으로 부른 이유

                       (4) 천구상 목성의 운행경로

                       (5) <사기> 의 기록과 목성의 실제운행 비교

                           1. “목성은 떠올라

                              a) “목성은 떠올라는 틀린 번역 

                                  i) 2014 6 24

                                  ii) 2014 7 25

                                  iii) 2014 8 18

                              b) 목성 관측이 어려운 기간

                           2. “동쪽으로 12도를 운행해 1백일 만에 멈추어 서고

                           3. “되돌아 서쪽으로 역행하며, 8도를 역행해

                              1백 일 만에 다시 동쪽으로 운행한다

                         4. 매년 30 16분의 1도를, 하루 평균은 12분의 1도를 운행해 

                            12년 만에 하늘을 일주하게 된다.

                           5. “항상 이른 아침의 동쪽 하늘에 뜨고, 황혼의 서쪽 하늘에 진다

 

                       (6) 참고자료 

                           1. 2014 2 1~28일 태양 및 목성 출몰시간표 (서울지역)

                           2. 일출, 일몰 한자의 기원

                              a) 한자 의 기원

                              b) 한자 의 기원

 

                                                         <본   문>

 

                                 <자유게시판> 에 올린 글을 이곳으로 이전했습니다. 

 

(1) 목성은 인 날에 가장 밝을까 ? 

 

한 달 전인 1 6일은 목성이 충 (, opposition)” 이었습니다.  그 즈음 해외는 물론 국내 천체사진 사이트에는 목성 사진으로 도배되다시피 하더군요.  목성사진은 대적반 등 대기운동 때문에 아무리 오래 보고 있어도 예술입니다. 

 

목성은 1번 자전하는데 9시간 55 30 (9.925 시간)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그 크기를 생각하면 이 같은 자전속도는 놀랍습니다.  목성 적도지역 자전속도는 시속 45,000 km 라고 합니다. 

지구 적도지역은 시속 1,674 km 입니다.  목성은 이 같이 빠른 자전속도 때문에 지구에서 볼 때 시시각각으로 대기 모습이 바뀌게 됩니다. 대구경 고배율로 시간차이를 1시간씩만 두고 관측해도 희미하게나마 매번 다른 모습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비록 이 한달 전이었으나, 2 월초인 지금도 광도가 – 2.5 등급이니 아직도 쌩쌩한 모습입니다.  은 태양-지구-외행성이 일직선일 때인데, 위치상 <일직선> 일 뿐, 지구와 가장 <가까울 때> 를 의미하진 않습니다.  만일 지구 및 목성 궤도가 모두 완전한 원형이면  일 때 위치상 일직선이 되고, 지구에서의 거리도 가장 가깝고 따라서 인 날에 가장 밝을 겁니다.  

 

그러나 지구 및 목성의 태양 공전궤도가 타원이며, 두 공전궤도면이 서로 조금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와 가장 가까운 날은  인 날이 아니라 전후로 며칠 차이가 있게 됩니다.  더불어 가장 밝은 날도 전후로 며칠 차이가 나게 되지요.  

 

목성의 회합주기는 398.88 일로, 399 일입니다.  1년이 조금 넘습니다. 따라서 다음 목성의 까지 기다리려면 1년 이상을 더 기다려야 합니다. 비록 은 지났으나, 아직 목성의 전성기이므로 관측하실 때 목성도 많이 사랑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생각나는 몇 가지 차이들

 

천문학 입문서에는 보통 인 날 가장 밝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정확히 알고 계셔서 건강에 해로울 일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같은 사소한 차이는 천문학 입문서인 경우 여러 곳에서 발견됩니다.

 

한가지 예를 들면, <일출시간>은 태양의 상단 끝부분이 지평선에 닿을 때일까요, 아니면 태양의 중심이 지평선에 닿을 때일까요 ?  아마도 바로 답을 맞추실 수 있으실 겁니다만, 이 경우 문제가 정확하지 않습니다.  소위 <틀린 문제> 입니다.

 

일출시간을 정하는 시점은 <나라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태양의 상단 끝부분이지만, 태양의 중심으로 정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따라서 맞는 문제가 되려면,  우리나라에서라는 국가 이름이 들어가야 합니다.  보통 우리나라,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동남아에선 태양의 상단 끝부분으로 정하고, 영국 등 유럽 몇몇 국가는 태양의 중심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더 예를 들어봅니다. 

우리나라에서 일출시간이 태양의 상단 끝부분이 지평선에 닿을 때라면, 과연 태양은 실제로 지평선에 상단 끝부분에 닿아 있을까요 ?  그렇지 않습니다. 해가 뜰 때, 실제 태양은 수평선 약간 아래에 있습니다.  지구 대기가 태양 모습과 빛을 굴절시켜 지평선에 접한 것처럼 보입니다.  일출, 일몰 시점에서 우리가 보는 태양은 사실 <허상> 입니다.   

 

말씀 드린 김에 하나 더 언급드립니다.  

우리나라에서 춘분날과 추분날의 낮과 밤 길이는 <같지 않습니다>.  같아 지는 날은 춘분, 추분 전후로 며칠 차이가 있습니다.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일출, 일몰시간은 태양의 상단 끝부분이 지평선에 접하는 시점이지만, 춘분, 추분은 실제 태양의 중심이 춘분점, 추분점에 오는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태양 끝 부분이 중심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쌓여서 며칠 차이를 만들게 됩니다.

이런 사소한 몇 가지 차이는 한 2년 전 다른 글에서 언급 드린 기억이 납니다 

목성의 말씀 드리다가 옆길로 샜네요.

 

(3) 목성을 세성 (歲星) 으로 부른 이유

 

중국 고대 역사책들 중 오래되고 신뢰성 있는 책들 중에서 사마천 (司馬遷, BC 145 ? ~ BC 86 ? ) 이 지은 <사기 (史記)> 에는 목성을 세성 (歲星) 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사기> BC 91년경에 완성되었다니 2,100년 전의 사서입니다. 

 

사기의 <천관서 (天官書)> 부분에 다섯개 행성의 운행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음양오행설에 입각한 각 행성들의 성격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천관 (天官)” 이란 왕실 천문학자로, 하늘의 운행을 보고 왕실이나 나라의 정책, 운명을 조언하거나 점치는 사람입니다.  따라서 천관서란 천관이 보는 책이라는 의미일 겁니다.  <사기> 에 기록된 다섯개 행성이름들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유게시판에 별도로 올려 드리겠습니다.

 

() 는 연도를 나타내며, 세성이란 연도를 알 수 있는 별이란 뜻입니다.  과연 목성을 보면 그 때가 몇 년도 인지 알 수 있을까요 ? BC 91 에는 당연히 망원경이 없었으니 목성 자체의 모습으로 알 수는 없었겠고, 목성의 천구상 위치로 판단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요즘 목성은 어느 별자리에서 보이는지 기억 나시나요 ?  지금을 2014 2 10일이라고 하면 쌍둥이 자리의 중앙에서 보입니다.  그렇다면 정확히 1년 후인 내년 2015 2 10일에는 목성은 어디 가 있을까요 ?  답을 먼저 말씀 드리면 게자리 입니다.  두 날짜의 Stellarium 화면을 아래에 올려 드립니다. 지역은 서울입니다.  

 

1 목성14.02.10..PNG                    

<2014. 2 10. 22:00 서울지역. 쌍동이자리 중심에 위치>   

 

2 목성 15.02.10.PNG                      

<2015. 2 10. 22:00 서울지역. 게자리 내부 약간 동쪽. 서울지역>   

 

바로 위 화면처럼 1년 동안 이동한 각거리를 재보면 약 32 ° 이동했습니다.

한편 두 별자리를 보면 당연히 모두 황도 12 궁입니다.  행성들은 공전궤도면이 지구 공전궤도 평면과 거의 같은 평면에서 공전하므로 모두 황도대를 따라 움직이겠지요.  재미있는 것은 황도 12 궁에서 쌍둥이자리 다음 순서가 게자리 인데, 정확히 1년 후에 목성도 게자리로 옮겨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를 보면 2 년 후인 2016 2 10일의 목성의 위치도 추정할 수 있지요.  게자리 동쪽 32 ° 인 사자자리 입니다.  아래는 2016 2 10일 목성의 위치 입니다.

  

3 목성 16.02.10.PNG                       

<2016. 2 10. 22:00 서울지역. 사자자리 내부 약간 남쪽. 서울지역>   

 

위에서 재본 1년 동안 이동한 각거리 32 ° 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강으로 추정은 될 겁니다.

1년에 32 ° 이동했으므로 천구를 한바퀴 360 ° 돌려면 

 

        360 ° ÷ 32 ° = 11.25 년 입니다.

 

목성은 태양을 공전하는 행성입니다.  천구를 한바퀴 돈다는 것은 태양을 한바퀴 도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목성의 태양 공전주기 입니다.  다른 자료에서 찾아본 정확한 공전주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목성의 태양 공전주기 = 11.8618 (4,332.59 ) = 12

 

Stellarium 화면으로 대충 재서 소수점 절사한 각거리 32 ° 로 계산한 것이 11.25 년과 어느 정도 비슷하게는 나오네요.

 

11.8618 년은 < 12> 입니다.  따라서 목성은 12년마다 천구를 한바퀴 일주하며, 황도 12궁을 1년마다 지나간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성이 살고 있는 별자리를 보면 그 해의 연도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예전 중국에서 이를 세성 (歲星) 이라 불렀습니다.  더욱이 음양오행설에서는 편리한 12지가 있습니다.  고대 중국에선 황도대를 자축인묘 등 12지로 나누어 목성의 위치를 보고 연도를 기산했다고 합니다.  그럼 정말로 지금부터 12년 후인 2026 2 10일에 목성이 쌍둥이 자리로 돌아오는지 아래 화면으로 다시 확인해 보십시오.   2014 2 10일과 똑같이 정확한 위치는 아니지만, 그래도 길을 잃지 않고 쌍둥이 자리 중심부 거의 비슷한 위치에 돌아와 있습니다.  반가워라. 기특한 녀석 !

 

4 목성 26.02.10.PNG                       

<2026. 2 10. 22:00 서울지역. 쌍둥이 자리 중심부. 서울지역>   

 

그런데 목성이 각 별자리를 점유하는 기간이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역법대로 매년 1월부터 12월까지 정확히 들어맞을지 궁금합니다.  보편적으로 생각해 본다면 목성이 지구 역법을 알 리 없고, 더구나 지구 역법은 시대마다 다르며, 역사를 보더라도 나라마다 1월이 시작하는 시점은 다소 차이가 있었습니다.  또한 각 별자리의 크기도 모두 다르므로 연도와 별자리가 정확히

맞아 떨어질 수는 없을 것 입니다.

 

하지만 목성의 운행경로를 자세히 살펴보면 매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각 별자리 경계를 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아래는 2013 년부터 2026년 까지 목성의 운행경로에 따른 별자리를 단순화해서 그려본 것입니다.  각 별자리 경계를 넘는 시점은 5~8월 사이이므로 각 연도의 중간 쯤에 별자리 경계선을 배치했습니다.  그림을 일견해 보시면 목성이 왜 세성으로 불렸는지 짐작되실 것입니다.

 

5 점유별자리.PNG                               

<목성의 운행경로와 점유하는 별자리. 2013~2026>    

 

(4) 천구상 목성의 운행경로

 

목성이 위 그림처럼 연도별로 각 별자리를 차례대로 휩쓸며 지나가기는 하지만, 그 운행경로는 편안하지 않습니다.  사람의 인생에도 우여곡절이 있듯이, 목성을 포함해서 외행성이 노는 모습을

지구에서 볼 때는 좌충우돌 그 자체입니다.  이를 좀 문자 써서 표현한 것이 순행과 역행을 반복한다라는 표현입니다.

 

순행은 천구상에서 서쪽에서 동쪽으로 운행하는 것이고 역행은 그 반대입니다.  아래 그림은 목성이 2012 7월부터 2014 7월까지 2년 동안 천구상에서 움직이는 경로를 표시한 것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운행경로와 시점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 그 아래에 제가 보기 쉬우시도록 경로를 단순화해서 다시 그려 드렸습니다.

  

6. 천구상 경로.PNG   

<목성의 천구상 운행경로. 2012 7~2014 7.  그림: nakedeyeplanets.com>

 

7. 내그림-운행경로.png  

<목성의 천구상 운행경로를 단순화해서 그린 것>

 

위 그림에서 보시듯이 목성 운행과정에서 중요시점을 순서대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순행 à (역행시작) à 역행진행 à à 역행계속 à (역행종료) à 순행  

 

() 는 순행과 역행이 바뀌는 시점에서 행성이 천구상에 잠시 멈춰있는 듯이 보이는 때입니다.

제가 그린 그림에서는 날짜를 자세히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단락에서 이 그림을 다시 언급

드리겠습니다.   

 

(5) <사기> 의 기록과 목성의 실제운행 비교

 

한편 목성은 다른 외행성들처럼 뜨는 시간과 지는 시간이 연중 기복이 심해서 항상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 단락에서는 목성의 <출몰시간> <순행, 역행기간> 등 운행에 관련된 세부사항을 알아보려 합니다.  단순히 사실만 전달 드리는 것 보다는, <사기 천관서> 에 세성 (세성) 이라 기록된 목성 관련부분을 검증하면서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에 원문과 번역을 인용 드립니다. 번호는 설명 드리는 순서입니다.  

 

  <사기 천관서> 의 세성 (목성) 부분  

 

    • 원문 : 1. 歲星出,

            2. 東行十二度, 百日而止,

            3. 反逆行逆行八度, 百日, 復東行.

            4. 歲行三十度十六分度之七, 率日行十二分度之一, 十二歲而周天.

            5. 出常東方, 以晨入於西方, 用昏.

   

    • 번역 : 1. 목성은 떠올라

            2. 동쪽으로 12도를 운행해 1백일 만에 멈추어 서고

            3. 되돌아 서쪽으로 역행하며, 8도를 역행해  

               1백 일 만에 다시 동쪽으로 운행한다.

            4. 매년 30 16분의 1도를, 하루 평균은 12분의 1도를 운행해

               12년 만에 하늘을 일주하게 된다.

            5. 항상 이른 아침의 동쪽 하늘에 뜨고, 황혼의 서쪽 하늘에 진다.

              <출처 : terms.naver.com>

 

   1. “목성은 떠올라

 

     a) “목성은 떠올라는 틀린 번역 

 

목성이 떠서 동쪽으로 12도만 운행한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 하루 밤 사이에 12도 씩이나 이동할 수 있을까요 ?  목성의 천구상 운행내용을 감안하지 않고 글자 그대로만 번역해 놓으니 당연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제대로 번역한다면, “목성은 떠올라가 아니고 , “목성은 하늘에 (새로이) 나타나서가 되어야 합니다.  세성출 (歲星出)” 에 씌여진 한자 ()” 의 본래 뜻은 위로 뜬다라기 보다는 나타난다 에 더 가깝습니다.   일출 (日出)” 의 경우, 태양이  뜨는것을 표현하지만, 태양이 나타남이라고도 번역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태양은 예나 지금이나 매일 어김없이 아침에 보이므로, “뜨는것이나, “나타나는것이나 같은 의미입니다.

 

그러나 목성 출몰시간은 연중 변화가 심해서 밤하늘에서 보이지 않는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가 질 때 태양 바로 뒤따라 지고, 해가 뜰 때 큰 시간 차이 없이 태양 직전에 뜬다면, 태양 빛 때문에 보이지 않겠지요.  소위 목성의 잠수기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내용을 감안하지 않고, “세성출 (歲星出)” 을 단순히 ““일출 (日出)” 처럼 번역하면 도무지 이해되지 않는 번역이 됩니다.

 

한편 맨 아래 단락 <(6) 참고자료> 에서 일출 (日出) 에 사용되는 한자 글자와 일몰 (日沒) 에 사용되는 글자의 기원에 대해서 갑골문 및 한자요소를 분석해 알아봅니다.  한자에 관심 있으시면 같이 살펴보아 주십시오.  더불어 2월의 태양과 목성 출몰시간표도 올려 드렸습니다.

 

하여간, 일출직전 지구대기로 인해 실제 태양이 굴절되어 세상이 밝아지는 순간을 여명이라 하고, 그 때부터 각 30분 정도씩 천문박명 à 항해박명 à 시민박명으로 나눕니다.  시민박명이 끝나는 순간이 일출이지요.  이 세가지 박명 기간은 모두 90분 정도이며, 굴절된 태양빛으로 인해 별들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일몰은 순서를 거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목성이 일몰 직후 90분 보다 짧은 시간 안에 진다거나, 일출 전 90 분 보다 짧은 시간

안에 뜬다면 태양 빛 때문에 관측이 쉽지 않을 겁니다.  2014 년의 태양과 목성의 출몰시간을 비교해서 출몰시간이 서로 90 분 간격인 날짜들만 뽑아 보았습니다.  서울지역입니다. 

 

별도로 상세한 자료를 제공해 주신 원치복 지부장님께 감사 드립니다.

지부장님께서 공개자료실에 올리신 <2014년 행성자료> 도 참고해 주세요. 

 

          2014   일 출    일 몰        목성 출   목성 몰              

         ---------------------------------------------------------------------------------

       624  05 : 11  19 : 59      06 : 58   21 : 28     목성이 태양보다

                                                                      1시간 29분 늦게 짐.

 

       725 05 : 30  19 : 49      05 : 29   19 : 49     목성과 태양이 동시에

                                                                      뜨고 짐 (일출만 1분 늦음)  

 

          818일   05 : 50  19 : 24     04 : 21   18 : 31     목성이 태양보다

                                                                      1시간 29분 빨리 뜸. 

         ---------------------------------------------------------------------------------

         <자료 제공: 원치복 지부장님. 서울지역>   

 

또한 지부장님께서 공개자료실에 올리신 <2014년 행성의 뜨는 시각변화> <2014년 행성의

지는 시각변화> 두가지 그래프에서 목성과 태양만 표시하고 두 그래프를 합성해 새로 그려보았습니다. 일단 아래 그림 보시지요.

 

8 내그림-출몰시간그래프.png   

<2014년 목성과 태양의 출몰시간 변화. 서울지역.  자료: 원치복 지부장님>  

 

   • 위 그림에서 일출, 일몰 사이의 장구처럼 생긴 부분의 안쪽이 입니다.  

 

   624 : 목성이 태양보다 90 (1시간 29) 늦게 지지만, 이 때부터 박명 때문에

                관측이 어려우며, 이 기간을 청색으로 표시했습니다. 

 

   7 25 : 목성과 태양이 동시에 뜨고 집니다.  태양이 목성을 거려서 보이지 않습니다. 

 

    8 18 : 목성이 태양보다 90 (1시간 29) 빨리 뜨지만 이 때까지도 박명 때문에

                관측이 어려우며, 이 기간을 청색으로 표시했습니다. 

 

아래에는 위 세가지 날짜의 Stellarium 화면과 설명 올려 드립니다. 

 

    i) 2014 6 24

 

9 목성 14.0624 19.59.PNG                         

<2014 6 24. 일몰 시간 19:59. 서울지역.

  목성이 태양보다 1시간 29분 늦게 지면서, 지평선 부근에 있으나,

  박명의 태양 빛 때문에 쉽게 보이지 않음>     

 

    ii) 2014 7 25

 

10 목성 14.0725 1541.PNG      

<2014 7 25. 15:41, 서울지역.

 이 날은 하루 종일 일몰 때까지 태양이 목성을 가리고 있음

 목성은 태양 때문에 보이지 않음>

 

     iii) 2014 8 18

 

11 목성 14.0818 05.50.PNG                          

<2014 8 18. 일출 시간 05:50. 서울지역.

  목성이 태양보다 1시간 29분 빨리 떠서 지평선 위로 올라가 있으나,  

  박명의 태양 빛 때문에 쉽게 보이지 않음>     

 

     b) 목성 관측이 어려운 기간

 

위에서 보시듯이 대략적으로 본다면 2014 6 24일부터 8 18일 까지는 일몰 직후나 일출 직전에도 목성 보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눈 크게 뜨고, 망원경 및 필터 등을 동원해서 본다면야 보이겠지만, <사기>가 완성된 BC 91 이전 시대를 감안한다면 이 기간 중에는 목성 관측이 어렵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날짜로는 <56일 동안> 입니다.

또한 이미 언급 드린대로 관측자가 보기에 목성은 819일에 다시 나타난 것으로 보일 것이므로 목성은 떠올라가 아니고 목성은 하늘에 다시 나타나서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2. “동쪽으로 12도를 운행해 1백일 만에 멈추어 서고

 

위에 올려드린 <목성의 천구상 운행경로. 2012 7~2014 7>을 보아 주십시오.

이 그림에서 2013 5월 말부터 7월 초순까지 목성 경로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 부분이 2014년 경우 목성이 잘 안보이는 6 24일부터 8 18일에 해당합니다.

 

먼저 그림에서 2013 7월 초순 실선이 시작되는 부분부터 2013 11 17까지 의 시야각을 Stellarium 에서 재보겠습니다.  2014 년 자료는 찾지 못했으므로 2013년 자료를 인용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시듯이 2013 년 자료를 2014 2 10일의 천구에 적용하면 시야각이 약 17 °가 됩니다. 

 

12 시야각 17도.PNG                           

<2014 2 10일의 천구에 적용한 시야각은 약 17 °>

 

<사기> 에는 <12 °> 로 되어 있습니다.

목성 출몰 시간은 매년 다르고, 2013년의 자료와 BC 91 이전의 관측결과라는 2,100 년의 시간 간격을 고려하면 5 ° 차이는 놀랄만한 결과로 보입니다.

 

다음으론 목성이 다시 나타나서 동쪽으로 운행한 기간을 금년 2014 년 기준으로 알아 봅니다.

 

     목성이 잘 안보이는 기간 : 20146 24 ~ 8 18

     목성 ” (à)        : 201412 9

 

따라서 8 19~ 12 9일까지이며 기간은 <112 > 입니다.

 

<사기> 에는 <100> 로 되어 있습니다.

목성이 잘 안보이는 시간을 제가 임의로 박명 90 분간으로 정한 것과 2,100년이란 시차를 고려하면 <12> 차이는 역시 놀랍습니다.   

 

  3. “되돌아 서쪽으로 역행하며, 8도를 역행해

      1백 일 만에 다시 동쪽으로 운행한다

 

역시 위의 그림 <목성의 천구상 운행경로. 2012 7~2014 7> 와 제가 그린 <목성의 천구상 운행경로를 단순화해서 그린 것> 두가지로 계산해 봅니다.

 

    역행시점 : “  2013 11 17 ~ “” 2014 3 6

 

따라서 역행 기간은 <111> 입니다.

2,100 년전의 자료와 단지 <11> 차이 밖에 나지 않으니 또다시 입이 벌어집니다. 

 

다음은 역행 시야각입니다.

2013 11 17 ~ 2014 3 6일까지 역행한 시야각을 2014 2 10일의 Stellarium 으로

측정했습니다.  

 

13 역행시야각.PNG                           

<2014 2 10일 천구로 측정한 역행 시야각>

 

<사기> 에는 <8 °> 로 되어 있습니다.

위 화면처럼 측정결과는 <8 ° 41’> 입니다.  이번엔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 부분에서는 목성이 2,100년 전과 동일한 모습을 보여 주었네요. 

 

 4. 매년 30 16분의 1도를, 하루 평균은 12분의 1도를 운행해 

    12년 만에 하늘을 일주하게 된다.

     

위에서 언급드린 단락 <(3) 목성이 예전에 세성 (세성) 으로 불린 이유> 에서 말씀 드린 목성의 정확한 공전주기를 다시 써 드립니다.  

 

       목성의 태양 공전주기 = 11.8618 (4,332.59 )

       1년 평균 이동 시야각 = 360 ° ÷ 11.8618 = 30.3495 °

 

 <사기> 는 매년 30 16분의 1도 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30.0625 ° 입니다.

현대의 측정치와 불과 1년 평균 <0.287 °> 밖에 차이 나지 않는 기절할 만한 결과입니다.

2,100 년 전 관측 결과라고는 정말로 믿어지지 않네요.

<사기>의 그 아래 서술은 산술적 계산으로 나온 수치입니다.  모두 정확합니다.  

 

  5. “항상 이른 아침의 동쪽 하늘에 뜨고, 황혼의 서쪽 하늘에 진다

 

위의 <1. “목성은 떠올라”> 단락에서 이미 설명 드린 부분입니다.

 

보충 설명 드리면, 목성은 낮에도 뜹니다. 이런 경우는 태양 빛에 가려서 보이지 않으므로

일출 직전에 뜨거나, 자정이 지난 이른 새벽에 뜰 때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이른 아침에 뜬다고 기록한 것 같습니다.  물론 뜨는 방향은 동쪽 부근이겠지요.

 

또한 목성은 낮에 질 때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보이지 않으므로 일몰 직후에 지는 경우를 묘사해서 황혼에 진다고 표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기> 기록의 원문과 번역본을 같이 살펴보니, 우리말 번역에만 사소한 오류가 있고, 원문은 2,100 년전 자료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정확합니다.  저는 글 쓰기 전에는 오차가 많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 글 쓰면서 진심으로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수천년전 하늘이나 지금의 하늘이나 다르지 않을 것인데,

사는데 바쁘다는 핑계로 머리 위 하늘이 돌아가는 이치를 깨닫지 못하고 있으니

내심 부끄러울 따름입니다.

 

(6) 참고자료  

 

   1. 2014 2 1~28일 태양 및 목성 출몰시간표 (서울지역)

 

관측에 참고하시도록 2월의 태양 및 목성 출몰시간표를 표로 만들어 드립니다

지역은 서울입니다.

 

14 출몰시간표.PNG     

<자료제공 : 원치복 지부장님>

 

   2. 일출, 일몰 한자의 기원

 

      a) 한자 의 기원

 

한자 ()” 을 들여다보면 산 () 이 두 개 겹쳐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제가 어릴 때 한자 배울 당시엔 퐁당 퐁글자를 부르듯이 높은 산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 글자의 기원은 <꽃봉오리> 또는 <새싹> 이 피어나는 모습입니다.

아래 왼쪽 그림은 갑골문에 보이는 글자의 원형입니다.  그 오른쪽에 피어나는 꽃봉오리 사진을 같이 올려 드립니다. 모양을 비교해 보시지요.

 

15 출갑골문.PNG            16 꽃봉오리.PNG           17 새싹.PNG                              

< 글자의 갑골문.                < 글자의 기원.  꽃봉오리 또는 새싹>

  출처: 갑골문 이야기.

  김경일, 바다출판사 1999>   

 

따라서 위 본문의 세성출 (歲星出) 번역에 관해 언급 드린대로 ()” 을 단순히 뜬다로 번역하기 보다는 새로이 나타난다로 해석하는 것이 옳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의 중국어 발음은 추우~” 입니다.  이 발음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이 되었습니다.

 

재미삼아 아래에 갑골문으로 일출 (日出), 월출 (月出) 글자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출처는 위 책과 동일합니다.  갑골문은 지금부터 3,300년 전에 만들진 문자로서, 한자의 원형입니다. 갑골문과 당시 월식 등에 관련된 사항은 Astro News Serial No 13 (2013 1월호) 를 참조해 주십시오

 

18 일출.PNG            19 월출.PNG                      

<갑골문으로 만들어 본 일출 (日出), 월출 (月出)>

 

    b) 한자 의 기원 

 

아쉽게도 몰 ()” 글자는 위 책에 나온 갑골문 자료에선 찾을 수는 없었습니다.  여기서는 이 글자가 만들어진 요소들과 우리말 발음의 기원에 대해서만 살펴보겠습니다. 

 

()” 글자는 물에 빠지다라는 뜻입니다. 사전 찾아보니 라는 발음도 있다고 되어

있지만,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삼국시대 같은 고대국가 시절에는

발음이 가 아닐까 저 혼자 추측해 봅니다.  이유는 이 한자가 중국어에선 메이한가지로

발음되기 때문입니다.  이 글자는 중국 및 일본에선 로는 쓰지 않고 로만 쓴다고 합니다.

 

()“ 글자가 뜻을 의미하고, “글자는 발음 요소입니다.  여기서 글자는 한자사전에

창 수 또는 몽둥이 수로 되어 있습니다.  본래 뜻은 대걸레 자루 같은 나무의 앞을 뾰족하게

깎아 만든 나무 창을 의미합니다.  중국어 발음은 이고, 우리말 발음은 이지요.

예전 군대에선 대걸레 자루나 도끼 자루로 체벌을 하기도 했지요. 대걸레 자루 같은 나무 막대기 가 몽둥이가 된 사연이 짐작됩니다.

 

하여간 (: 의미요소) + (: 발음요소) 으로 만들어진 글자이므로, 발음이 발음과 동일하게 가 되거나, 중국어 발음에서 유래된 로 되어야 하는데, 왜 지금은 로 발음하는지 궁금했습니다.  한자사전 보시면 발음요소로서 이 사용된 한자의 우리말 발음에는 전혀 일관성이 없이 여러 가지로 발음됩니다.  

 

만일 사람이나 강아지가 물에 심각하게  빠지면 어떻게 될까요 ?  대부분 사망일겁니다.  사망

한다는 뜻을 가진 한자 중에 歿 이란 한자가 있습니다.  중국어 발음은 모어~입니다. 

모어~  발음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歿 의 우리말 발음이 이 되었습니다.

 

다음은 제 개인적 추측입니다.  삼국시대에는 또는 을 중국어 발음인 메이의 우리말

발음인 로 발음했을 것이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그런데 죽는다라는 뜻의 歿 이란 글자의

중국어 발음이 모어~이고, 우리말 발음은 이었는데, 물에 빠지면 죽기 십상이므로

歿  글자의 우리말 발음과 혼동해서 로도 발음하지 않았을까 추측해 봅니다.

 

사실 중국어 발음 메이” () 모어~  (歿) 이 어느 정도 유사해서, 우리나라에서 글자

발음과  歿 글자 발음을 혼동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 혼자만의 생각이므로 안 믿으셔도 됩니다.

 

      2월은 목성을 쌍동이 자리 무릎 근처에서 거의 한 밤중 내내 볼 수 있는 때입니다. 

      월드컵 축구에 열광하시듯이 쌍동이가 가지고 노는 축구공이라 생각하시고,

      앞으로 목성도 많이 사랑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
    원치복 지부장 2014.02.06 08:11 (*.126.12.135)

    목성에 대한 정리 고맙습니다.

    조침문 시작이 '유세차 모년 모일' 인데

    여기서 '세' 가 세성으로 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고 있는 그 목성을 정리해 주셨네요

  • ?
    조강욱 관측부장 2014.03.20 20:47 (*.232.41.41)

    유세차의 '세'가 목성이군요!

    참으로 놀랍습니다! ㅎㅎㅎ

  • ?
    유태엽 2014.02.06 10:15 (*.52.241.40)

    옛날 국어시간 생각납니다. 조침문…. ^^

     

    자료들 엄청 많은 도움되었고, 유용하게 잘 쓰고 있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 ?
    과학전시관 천문대 2014.02.07 14:32 (*.108.10.6)

    점점 고천문학을 제대로 배워보고 싶어지네요 ^^

    늘 좋은 정보를 이렇게 요약 정리 해주시어 감사합니다

    오늘도 이렇게 배우고 갑니다.

  • ?
    유태엽 2014.02.08 01:05 (*.52.241.40)

    식견이 짧아 상식 수준 밖에 되지 않습니다.    

    좀 더 공부해서 보완해 나가겠습니다

    잘 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조강욱 관측부장 2014.03.20 20:45 (*.232.41.41)

    Astro News가 휴간이라 많이 아쉬웠는데..

    이렇게 다시 주입식 공부 소스를 주셔서 

    장마철에 맑은 밤하늘 본 것처럼 반갑습니다 ^-^

    1.일출을 보는 시각도 나라마다 다 다르군요..

    그리고 우리가 보는 일출은 대기의 굴절에 의한 허상이라 생각하니

    해가 뜨는 그 장엄한 광경이 조금 허무하게, 또는 더욱 신비하게 다가오네요.. ^^


    2. 그 옛날에도 이렇게 정확하게 하늘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었다니..

    그 당시 사람들의 집요함과 고도의 지식이 경외롭기까지 합니다..

    그 시절에는 도심의 집 마당에서도 목성의 그림자를 볼 수 있었겠죠?

    부럽기도 하지만, 그 때는 망원경이 없었을테니 그 시절에 살아보고 싶은 욕심은 없어요 ^^;;

    만약 유태엽쌤이 그 당시에 살았다면.. 

    훌륭한 천관이 되지 않았을까요? ㅎㅎ


    3. 별동네의 별명 중에 

    성도를 통째로 외우고 다니는 사람은 '인간 성도'라 하고

    기계보다 호핑을 빨리 하는 '윤호 GOTO'같은 사람 기계도 있고 (GOTO 앞 단어는 사람 이름)

    지부장님은 어떻게 부를 수 있을까요?

    저는 원DB (Database)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ㅎㅎㅎ;;;


    4. 영어에 아랍어에 라틴어에 한자에 갑골문에 중국어까지..

    저 같은 '어학 장애인'에겐 유태엽쌤의 능력이 실로 부럽습니다 ^-^

  • ?
    유태엽 2014.03.21 00:36 (*.52.241.40)

    말씀주신 사항 수정해 놓았습니다.

    "일식세성" 이 맞는데,  "세성식일" 이 될 뻔 했습니다. 

     

    지부장님 별명으론 제가 "무한리필" 로 지어 드렸는데,  "원 DB" 도 딱 입니다. 

    그러면 무한리필을 "호" 로 해서 <무한리필 원 DB> 로 불러 드립시다. ^^

     

    항상 꼼꼼히 보아 주시고 오류 정정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
    nike store 2019.04.15 16:58 (*.89.41.239)
    http://www.adidas-eqt.us.com/ adidas eqt support
    http://www.zapatillasnikehombre.com/ Zapatillas Nike Mujer
    http://www.newbalance574.us.org/ new balance sneakers
    http://www.airmax-270.us.org/ air max 270
    http://www.kd11.us.org/ kd shoes
    http://www.yeezy-boost350.us.org/ adidas yeezy
    http://www.timberlands.us.org/ timberland
    http://www.northfacejacketoutlet.us.com/ north face coats
    http://www.supreme.com.co/ supreme hoodie
    http://www.converses.us.org/ converse all star
    http://www.ultraboosts.us.org/ ultra boost
    http://www.levis.us.com/ levis outlet
    http://www.eccoshoesoutlet.us.org/ ecco sandals
    http://www.jordanretro11.us.org/ jordan 11
    http://www.adidas-nmd.us.org/ nmd shoes
    http://www.boseheadphones.us/ bose headphones
    http://www.zapatillas-puma.com/ Zapatillas Puma Mujer
    http://www.nikeairmaxshoes.us.org/ nike air max
    http://www.camisas-ralphlauren.com/ Ralph Lauren
    http://www.adidas-ultraboost.us.org/ ultra boost
    http://www.skechersboots.us.org/ skechers shoes
    http://www.yeezysupply.us.org/ yeezy supply
    http://www.zapatillas-offwhite.com/ Off White
    http://www.stussyclothing.us.com/ stussy sweatshirt
    http://www.coachbagsoutlet.us.org/ coach bags
    http://www.chaussurejordan.fr/ air jordan
    http://www.fjallravenkanken.us.org/ fjallraven
    http://www.pumashoesoutlet.us.org/ puma outlet
    http://www.skechers-outlet.us.org/ skechers
    http://www.zapatillas-vans.com/ Zapatillas Vans Mujer
    http://www.levis.us.org/ levis jeans
    http://www.chaussures-salomon.fr/ salomon
    http://www.bose.us.org/ bose headphones
    http://www.new-balance.fr/ new balance
    http://www.ninewest.us.org/ nine west shoes
    http://www.salomon-shoes.us.org/ salomon speedcross
    http://www.nikebasketballshoes.us.org/ mens basketball shoes
    http://www.airmax-97.us.org/ air max
    http://www.clarks.in.net/ clarks
    http://www.jordan-4.us.org/ jordan 4
    http://www.airmax-95.us.org/ air max 95
    http://www.airmax-90.us.org/ nike air max
    http://www.adidaszxflux.us.org/ zx flux
    http://www.katespadepurses.us.org/ kate spade handbags
    http://www.katespade-handbags.us.org/ kate spade bags
    http://www.adidasstansmith.us.org/ stan smith shoes
    http://www.fjallravens.us.com/ fjallraven kanken
    http://www.zapatoslouboutin.com/ Louboutin
    http://www.nikebasketball.us.com/ basketball shoes
    http://www.adidassuperstars.us/ adidas superstar shoes
    http://www.stussy.com.co/ stussy hoodie
    http://www.puma.in.net/ puma outlet
    http://www.ninewestshoes.us.com/ nine west outlet
    http://www.jordan12.us.org/ jordan 12
    http://www.chaussurebalenciaga.fr/ basket balenciaga
    http://www.nike-airmax2019.us.com/ nike air max 2019
    http://www.calvinkleinhombre.com/ Calvin Klein Mujer
    http://www.salomons.us.org/ salomon
    http://www.nikeairmax2019.us.org/ nike shoes
    http://www.katespadebags.us.org/ kate spade
    http://www.zapatillas-adidas.com/ Zapatillas Adidas Mujer
    http://www.nike-chaussure.fr/ nike air max
    http://www.geox.us.com/ geox shoes
    http://www.adidasshoesoutlet.us.org/ adidas outlet
    http://www.mizunoshoes.us.org/ mizuno running shoes
    http://www.converseblanche.fr/ converse homme
    http://www.camisaversace.com/ Camisa Versace
    http://www.zapatillas-converse.com/ Converse
    http://www.armaniropa.com/ Trajes Armani
    http://www.trajeshugoboss.com/ Camisas Hugo Boss
    http://www.nikeshoes-outlet.us.org/ nike outlet
    http://www.geox.us.org/ geox sneakers
    http://www.braceletpandoras.fr/ bague pandora
    http://www.mizuno.in.net/ mizuno
    http://www.adidas-chaussure.fr/ adidas chaussure
    http://www.converseshoesoutlet.us.org/ converse
    http://www.chaussurefila.fr/ fila femme
    http://www.nmd.in.net/ adidas originals nmd
    http://www.zapatossocceradidas.com/ Zapatos Soccer Adidas
    http://www.jordan11shoes.us.org/ jordan 11
    http://www.lebron16.us.org/ lebron 16
    http://www.supreme-clothing.us.org/ supreme hoodie
    http://www.northfaces.us.org/ north face
    http://www.vansoldschool.fr/ vans old school
    http://www.ropaguess.com/ Guess
    http://www.ecco.in.net/ ecco mens shoes
    minerva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한담객설-기억의 저편: 황도12궁 이름의 시작(4) 7 file 유태엽 2014.10.01 8256
35 한담객설-기억의 저편: 황도12궁 이름의 시작(3) 7 file 유태엽 2014.09.24 10164
34 한담객설-기억의 저편: 황도12궁 이름의 시작(2-1) 5 file 유태엽 2014.09.15 8511
33 한담객설-기억의 저편: 황도12궁 이름의 시작(2-2) 2 file 유태엽 2014.09.15 11798
32 한담객설 - 기억의 저편: 황도12궁 이름의 시작(1) 15 file 유태엽 감사 2014.05.22 9075
31 한담객설 - 인연과 무연: A, 뱀주인 그리고 점성술 10 file 유태엽 2014.05.07 9024
30 한담객설 - 동양의복날 서양의Dog days (14.04.12) 12 file 유태엽 2014.04.12 8531
29 한담객설 - 이론 견우성 관측 견우성 (2014.04.01) 14 file 유태엽 2014.03.30 28312
28 한담객설 - 28수가중국것이 아닌이유(2014.03.17) 12 file 유태엽 2014.03.17 13105
27 한담객설 - 적도가 빨간색 길인 이유 (2014.03.06) 9 file 유태엽 2014.03.06 11946
26 한담객설 - 수성이 한자 수성인 이유 (2014.02.08) 9 file 유태엽 2014.02.08 10211
» 한담객설 - 목성이 한자 세성인 이유 (2014.02.05) 8 file 유태엽 2014.02.05 9312
24 Astro News - Serial No 23 - Jan. 2014 11 file 유태엽 2014.01.19 9043
23 Astro News - Serial No 22 - Oct 2013 16 file 유태엽 2013.10.18 7570
22 Astro News - Serial No 21 - Sep 2013 13 file 유태엽 감사 2013.09.16 169118
21 Astro News - Serial No 20 - Aug 2013 8 file 유태엽 2013.08.10 21992
20 Astro News - Serial No 19 - July 2013 11 file 유태엽 2013.06.30 22398
19 Astro News - Serial No 18 - June 2013 10 file 유태엽 2013.05.24 94338
18 Astro News - Serial No 17 - May 2013 4 file 유태엽 2013.05.05 8732
17 Astro News - Serial No 16 - April 2013 6 file 유태엽 2013.04.06 153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